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75%정도로, 여기에 영양을 위해 야채를 섞기도 한다.모조치즈는 이들과 달리 자연치즈가
전
혀 들어가지 않는다. 단백질은 우유의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을 렌넷으로 처리해 만든 렌넷카제인으로 대신하고, 유지방 대신 식물성 기름을 쓴다. 주로 열대식물인 오일팜나무의 열매에서 뽑아내는 팜유를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초속 7~8km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10cm 길이의 파편인 우주 쓰레기는 위성 하나를 완
전
히 파괴시킬 수 있는 위력이 있다. 우주에서 유영중인 우주인은 수 밀리미터 크기의 파편만으로도 목숨을 잃을 수 있다. 2011년 6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승조원들은 우주쓰레기가 접근해오자 탈출용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변하나요. 우리 우주엔 은하가 몇 개인가요. 우리 우주 밖은 뭡니까. 우주 탄생 이
전
에 뭐가 있었나요.처음 질문 한두 개에 성의껏 대답을 해 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자기 연구 세계에 애착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화가 진행될수록 더 흥분하고 스스로 얘기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이렇게 답하기 두세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보면 문제가 더 커집니다. 학자들은 인류가 온
전
히 직립보행만 하게 된 이유가 500만 년
전
아프리카의 삼림지대가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삼림이 남아있는 서아프리카에서는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한 유인원들이 살아남아 현재의 침팬지와 고릴라로 진화했다는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디일 지 추적했다.
전
반적으로 기사 뒷부분을 읽어 가며 몰입이 됐다. 다시 말해 기사
전
체의 앞부분 절반에 해당하는 분량을 과학 원리로 채웠다는 점이 조금 아쉽다. 차라리 콘서트홀에서 가장 음악을 잘 즐길 수 있는 위치와 자리가 어디일 지, 관심을 환기시킨 후 기사를 풀어갔으면 어땠을까.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중 하나인 풍경우주론에 따르면 이런 우주가 자그마치 10500개 존재한다. 보다 극단적인 버
전
으로 데이터유니버스 여행을 끝내자.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론에서는 우리 우주만큼의 데이터를 담은 우주가 ‘무한 개’ 존재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Part1. 왜 4할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α가 유독 관심 받는 이유는?그런데 물리상수는 왜 이런 값을 갖는 걸까. 이 물음은 현대 물리학자들에게 아주 흥미로운 문제다. 그러나 그 누구도 풀어내지 못했 ... 웹 연구팀의 연구결과도 이런 해프닝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 α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전
개될지 무척 흥미진진하다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 신체의 각 기능에 최적화된 ‘수신코일’의 개발이다. 고주파를 맞고 방출되는
전
자파는 장기나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MRI 영상을 찍을 때 신체의 특성에 적합한 수신코일을 사용하는데 정확하고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수신코일을 내놓겠다는 것이다.MRI로 촬영한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박 소장은 “논문만으로 교수나 연구기관의 성과를 검증하다 보니 산업화, 기술 이
전
을 등한시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특허 기술을 지닌 교수들과 협업해 과학기술과 실제 산업 현장의 간극을 좁히는 데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Pisa Tower No More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기울어진 탑일까? 우리는 알지 못한다. 유럽에 있는 오래된 모든 탑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전
까지는 가장 많이 기울어진 탑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사탑들에 대한 이런 이야기들은 여행할 곳이 많아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마치 기울어진 탑을 붙잡고 있는 것처럼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어떤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