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로그램이 좋은 사례다. 수학은 수론과 조화해석학, 기하학, 표현론, 수리물리학 등 많은 세부 분야로 이뤄져 있다. 원래는 각각의 이론을 별개로 생각했는데, 1960년대 후반 캐나다의 수학자 로버트 랭글랜즈가 이들이 사실은 비슷한 현상에 대한 이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는 관련 있는 이론을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른 연평균 기온, 연령별 인구 구성비의 변화, 수질 오염 발생 원인 등을 한 눈에 보려면 표보다 그래프를 이용해서 나타내는 게 좋습니다. 조사한 자료를 그래프로 잘 표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통계학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는 ‘정보’이며, 정보를 ... ...
- [과학뉴스] 태양광 무인기, 성층권 나는 데 성공!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자체 개발한 태양광 무인기가 지상으로부터 18.5km 높은 성층권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8월 25일 밝혔 ... 일부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항우연은 실시간 영상 전송과 기상 관측 등 다양한 임무를 시험하고 기술을 실용화할 계획이다 ...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방암, 피부암 등 주요 암뿐만 아니라 임상 시험 방법론, 역학 연구, 생존자 건강관리 등도 싣는다. 올해 9월 1일자에는 혈액 검사로 약에 대한 내성 반응을 체크하고, 가능한 한 빨리 새 약물로 교체해 유방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려 화제가 됐다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프리카누스,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아파렌시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날레디 등 12개 종의 두개골을 분석했다. 두개골에는 대동맥으로부터 뻗어나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목 동맥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구멍의 크기를 재면 뇌로 흘러 들어간 혈액의 양을 알 수 있다.그 결과 인류는 진화 단계에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기 자체의 스펙이 너무 높아 처음부터 배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설계였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상영 교수는 이런 가설에 대해 “모두 가능성이 있지만, 말 그대로 가설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경계했지만, 삼성전자가 의혹에 대한 명쾌한 해명을 하기전까지는 이런 가설들이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감염이 대유행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화장실을 다녀온 뒤 손을 씻고, 칼과 도마 등을 조리도구를 통한 교차 오염을 조심하면 감염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 엑스선원(2002)과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2006), 우주 가속팽창(2011) 등을 확인한 것 등이다. 그리고 대부분 물리학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18건 중 15건, 생리·의학 2건, 화학 1건). 즉, 콘트랙트형 지원이 빛을 발하는 영역은 연구 목표가 뚜렷하고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분야다.▼관련기사를 계속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부분과 끝 부분이 분명하기 때문에 비교대조 하기가 쉽다. 실제로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공항출입국 심사 때 홍채인식을 활용하고 있다.홍채인식은 위조 방어에도 강하다. 얼굴 인식은 본인의 협조가 없어도 위조를 할 수 있지만 홍채는 불가능하다. 물론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어서 홍채를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는 ‘흙수저’ 과학자다. 가난한 가정에서 자라 청소와 탁아, 개인교습, 슈퍼마켓 점원 등 안 해본 일이 없다. 어렵사리 과학자가 됐지만, 이번엔 ‘비주류’였다. 1979년부터 리보솜의 구조와 유전적인 원리를 연구하기 시작했지만, 그를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에게는 안정적인 연구비도, ... ...
이전708709710711712713714715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