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즉, 지구의 공전효과가 개입되면 좀더 복잡해
진
다.태양과 지구와 외행성이 일직선으로 늘어서는 것을 충(衝)이라고 한다. 충이 되면,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목성은 정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선 지구에서 보이는 목성은 밤 12시가 되면 하늘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끝 사이는 34m나 된다. 꼬리날개도 날개 중간에 달려 있는 연료통 끝에 붙어 있다.제트 엔
진
이 달린 글로벌 플라이러는 모두 13개의 연료탱크를 갖고 있다. 전체 비행기 질량인 9979kg 중 83%가 연료다. 비행을 마치면 비행기 무게가 5분의 1로 줄어든다. 미국 워싱턴 항공우주박물관의 항공기 큐레이터인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모두 목표치를 넘었다. 수출에 빨간불이 켜
진
것이다.기후협약은 새로운 국제거래도 촉
진
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이다. 국제 기준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 정부나 기업은 남은 배출권을 팔 수 있다. 배출 기준을 넘긴 정부나 기업은 배출권을 사야 한다. 이를 위해 지난 2월말 노르웨이 오슬로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망원경의 사
진
에서는 거의 텅빈 것처럼 보이는 우주공간에서 말이다. 허블우주망원경 사
진
에서 나선은하나 타원은하는 기본이고 이쑤시개나 팔찌 고리를 닮은 은하도 보인다.별난 은하들의 ‘만물상’이라 할 만한 이곳에서는 은하의 과거도 파헤칠 수 있다. 멀리 있는 녀석일수록 과거의 모습을 ... ...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무리가 가지 않도록 업데이트 주기를 효율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름 사
진
은 세 시간마다 업데이트되므로 업데이트 주기를 세 시간 이상으로 설정해 구름 정보 제공처의 시스템 부하를 줄여야 정보를 계속 받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생명체가
진
화와 돌연변이를 거치면서 X와 Y성염색체가 생겼으며 이 가운데 X염색체는
진
화를 거듭한 반면 Y염색체는 퇴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스 박사는 “혈우병, 색맹처럼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는 유전질환이 여성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남성에게 빈발하는 이유는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말의 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결과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별 생각 없이 이 이론을 ‘
진
실’로 받아들여 엄밀한 검증 없이 계속 인용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수년 전 미각의 메커니즘을 밝힌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로버트 마골스키 교수는 “모든 미각은 맛봉오리가 있는 혀의 모든 ... ...
모든 생물의 '유전자 신분증'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생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데 길게는 1년 이상 걸리기도 한다. 과학자들은 우선 이름이 붙여
진
170만 종을 대상으로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모든 생물이 갖고 있지만 DNA 배열은 생물마다 틀린 유전자를 비교해 이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 방대한 작업이 마무리되면 인류의 생활에도 큰 도움이 될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2. 디자인의
진
화심리학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3. 디자인이 매뉴얼 4. 디자인은 배려다 5. 디자인은 대화다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7. 디자인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별들이 개별적으로 보이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다.아기 은하의 존재에 대한 멋
진
발견이 이어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첫 번째 별이 생성되기까지 왜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그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제 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아기 은하 연구를 시작한 천문학자들이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