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외면하게 만들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든다. 또한 불행한 사건을 마주했을 때 감정
조절
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정서적 측면을 자극하기보다 ‘어떤 이유로든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돕는 게 옳다’는 다소 논리적 접근을 하는 것이 도움행동을 불러오는 데 더 효과적일지도 모르겠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사람을 그린 그림을 본 적이 있을 텐데 얼굴과 손이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섬세한 근육
조절
이 필요한 부위라서 많은 뉴런이 할당돼 있다는 말이다. 1차 운동피질의 뉴런은 중뇌와 연수를 거쳐 척수까지 이어지는데 이를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라고 부른다. 근육과 연결된 운동뉴런이 척수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온각센서가 열을 느끼고 촉각이 습기를 느끼면서 후텁지근하다는 느낌을 받고 이는 체온
조절
의 실패 위험성을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뇌는 불쾌하다고 해석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좋은 시료인 이유는 불의 열기로 결정 결함에 잡혀있던 전자가 다 빠져나가 ‘영점
조절
’이 된 이후에 다시 전자가 축적된 것이기 때문이다. 열발광연대측정 결과 6번 층의 시료들은 평균 30만2000년, 7번 층의 시료들은 평균 31만5000년 전에 불에 탄 것으로 분석됐다. 측정과정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게 아니다. 다이어트 분야에서는 ‘요요현상’이라고 부른다. 사실 다이어트, 즉 식단을
조절
해 살을 빼다는 건 운동보다도 더 직접적이고 명쾌한 방법이다. 운동은 일단 몸에 들어온 걸 빼내는 작업인 반면 다이어트는 들어오는 것 자체를 줄이자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허기와 식욕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최근 ‘면역의 배신’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나왔다). 이 책에서 블룸은 식단
조절
과 금연,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자가면역질환 증상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을 여러 임상사례를 곁들여 보여주고 있다. 사실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대사질환에 대한 처방과 겹치는 면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평가문제(임팩트팩터 맹신)나 과학자 수급
조절
등 구조적인 문제는 과학자들이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밖에 있는 게 현실이다. 대학정원을 크게 늘린 것이 오늘날 우리나라 청년실업문제를 초래한 구조적인 문제임에도 누구하나 손을 대지 못하는 것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교수는 “일란성쌍둥이도 얼굴 특징에 변이가 꽤 클 수 있지만 핵심영역은 유전으로
조절
되기 때문에 ‘똑같이 생겼다’고 인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얼굴을 20가지 거리로 측정한 뒤 게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수용체가 부족한 노인은 카페인 음료를 자제하는 게 좋다. 뇌에서 수면과 각성을
조절
하는 회로는 시상하부와 뇌간으로 이뤄져 있다. 시상하부의 시각교차앞영역(POA)에서는 수면의 시작과 유지를 담당하고(파란색) 외측시상하부영역(LHA)과 뇌간의 청반(LC)은 뇌가 깨어나게 하는 신호를 보낸다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유전적 결정을 내린다. 개화나 열매와 같은 유전적 결정을
조절
할 수 있는 열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우리가 보고 즐기는 꽃과 열매가 더욱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