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스페셜
"
복잡
"(으)로 총 9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성장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라는 말이다. 반면 다세포 유전자는 조직 분화나 개체의
복잡
성, 세포사멸에 관여했다. 결국 단세포성이 커진다는 건 세포 증식을 지향하고 사멸을 피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말이다. 바로 암세포의 특징이다. 한편 암세포에서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한 유전자 발현의 경우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는 공정도
복잡
하다. 시설 내 용기나 배관이
복잡
하게 설계돼 있다는 의미다. 해체를 완료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시설은 벨기에의 ‘유로케믹(Eurochemic)’이다. 1990년부터 약 20년에 걸쳐 유럽연합(EU)에서 시범사업으로 지정해 해체를 진행했다. 길이 8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먹어야 즉 뇌가 커질수록 신피질이 더 급격히 커지고 그 결과 뉴런 사이의 네트워크도
복잡
해져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도 꽤 늘어날 것이라는 말이다. 게다가 신피질의 상당 부분은 평소에도 정보를 주고받는 ‘디폴트모드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른 뇌 부위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밀 게놈 진화는 다소
복잡
한 주제로, 관심이 있는 독자는 를 읽어보기 바란다. 밀은 밀속(屬) 식물을 통칭한 이름으로 여러 종이 있다. 밀의 진화를 재구성한 결과 2배체(diploid)인 야생밀(T. urartu)과 염소풀(Aegilops속)이 교배해 4배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현대장미 품종들은 수많은 교배를 통해 얻어진 것으로 여러 장미 원종과 품종의 게놈이
복잡
하게 섞여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미 게놈 연구의 기준이 되는 ‘참조게놈’을 구축하는 게 쉽지 않은 과제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전운이 감도는 1930년대 말 프랑스 장미육종가 프란시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통제 아래 이뤄지지만 감정과 의지 등을 관장하는 뇌의 다른 부위들도 영향을 미치는
복잡
한 활동으로 아직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생리학연간리뷰’ 제공 펠드먼 교수는 1978년 연수 말단에 있는 조직에 뵈트징어복합체(Bötzinger complex)라는 이름을 붙여줬는데 이 조직이 그 바로 앞에 있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건 우리 몸 안에서 보내는 소식(신호) 아닐까. 뱃속 일러스트를 보면 수많은 장기가
복잡
하게 자리하고 있지만 우린 대부분의 존재조차 모른 채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어쩌다 내부 장기가 전하는 소식은 십중팔구 불편함이나 통증이고 이는 병이 났다는 뜻이다. 특히 전혀 왕래가 없던 간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포도당만큼 좋은 연료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굳이 탄수화물 대신 지방을 먹어
복잡
한 대사경로를 밟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식물이 뿌리나 줄기에 녹말을 저장하듯이 인체는 근육과 간에 글리코겐(glycogen)이라는 고분자 형태로 탄수화물을 저장하는데 보통 근육에는 약 200그램, 간에는 100그램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그 시작이 선이나 면이 아니라 점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며 “대단히
복잡
한 이론을 풀어낸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우주론-대폭발이론 논쟁을 종결시킨 호킹은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하는 연구에 나섰다. 연구 결과 블랙홀이 입자를 내뿜을 수 있다는 ‘호킹 복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꽃가루가 수분해 나온 교잡종으로 밝혀졌다. 감귤류 가계도를 보면 이런 관계들이 좀
복잡
하지만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구성한 가계도다. 만다린이 중심에 있지만 포멜로가 약방의 감초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위는 감귤류 각각의 게놈에서 원종 기여도를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