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스페셜
"
미국
"(으)로 총 7,09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치료제 개발 중단 우려 커져...임상참가자 모집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임상시험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이 감소했다는 점도 문제다. 엘리자베스 호만
미국
보스턴 소재 매사추세츠종합병원 교수가 지난 2020년 초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의 사망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임상시험에서는 4월까지 무려 1062명의 환자가 임상에 등록됐다. 그러나 ... ...
유일한 원숭이두창 치료제 테코비리마트 국내 도입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유럽 의약품청이 각각 2021년 11월과 2022년 1월에 차례로 테코비리마트를 승인했다.
미국
FDA는 최근 원숭이두창이 확산하자 경구용 캡슐 제형을 투여하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지난 5월 19일 정맥주사 제형의 테코비리마트를 승인했다. 이어 WHO는 지난 5월 30일 테코비리마트가 원숭이두창에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초기 지구에서 불가능한 설정이다. 화학의 관점에서 생명의 기원을 탐구하고 있는
미국
응용분자진화재단 연구자들은 43~44억 년 전 초기 지구의 환경을 재현해 RNA 벽돌이 스스로 반응해 최대 염기 300개에 이르는 RNA 가닥을 만들 수 있음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이들은 활발한 화산활동과 소행성 ... ...
코로나19로 잃은 후각 찾기 프로젝트 시동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주는 치료전략 개발을 위한 소규모 임상시험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3월
미국
이비인후과 저널에 공개된 연구에 따르면 염증을 줄이는 스테로이드 치료제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광범위한 염증을 유발하는 만큼 염증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를 통해 후각 ... ...
코로나19 유행 스트레스로 배란 장애 겪는 여성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장애를 겪는 여성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에서 열린
미국
내분비학회에서 공개했다. 코로나19 유행 중 생리 주기가 유지된 상태에서 배란 장애가 관찰된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기간 중 1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배란 연구와 2006~2008년 여성 301명을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미카엘 마린 박사후연구원은 한국과 해외 대학 큐브위성 개발을 비교해달라는 질문에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나 해외 기관에서는 연구원들이 큐브위성을 개발하는 대학에 가서 학생을 지도하는 사례가 많다”며 “또 한국은 학생들이 주가 돼 위성시스템까지 개발하는데 해외에서는 시스템은 ... ...
사람 땀 냄새로 코로나19 감염자 찾는 견공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수색 업무는 물론 최근에는 질병을 탐지하는 데도 개의 후각이 활용된다. 지난 2019년
미국
레이크이리대 연구팀은 사냥개인 비글 4마리를 8주간 훈련시킨 결과 폐암 환자의 혈청 냄새를 96.7%의 정확도로 구별했다는 결과를 공개했다. 이보다 앞서 2018년 영국에서는 훈련받지 않은 반려견이 주인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단백질과 핵막이 세포벽 내부에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밝혔다. 우 하오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로 가득찬 핵막을 가진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모세포를 분석했다. 구글의 인공지능(AI) 자회사 딥마인드가 지난해 7월 AI 단백질 구조 예측 도구인 ‘알파폴드’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나치게 걱정이 많은 사람에게
2022.06.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저녁 메뉴를 고르거나 옷을 고르는 사소한 일도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탓에 고민인 사람이 있다. 소위 결정 장애로 불리는 사람들이 ...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첫 감염자 나온지 2년 국민 3명중 1명 감염됐는데…남들 하니 이제서야 후유증 조사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제시되지 못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 원인 규명에 실패한
미국
국립보건원은 조사 규모를 늘려 약 2만명의 코로나19 감염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스넬러 연구원은 “증거를 찾기 위해 분석을 계속 연구하고 있다”며 “첫 번째 연구결과 논문은 끝이 아니라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