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미나
회의
쎄미나
워크숍
워크샾
토론회
강습회
뉴스
"
연구회
"(으)로 총 8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硏 신임 원장에 권동일 서울대 교수
2016.06.22
제공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임 원장에 권동일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59·사진)를 선임했다고 22일 밝혔다. 권 신임 원장은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과학기술부 ... ...
北 광물지도 살펴보니… 희토류, 금, 철까지 가득
2016.06.17
일대도 경제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본보는 16일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산하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DMR 연구단)’이 이런 내용을 담아 작성한 ‘북한 지역 광물 조사정보’ 자료를 단독 입수했다. 북한에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는 내용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북한 ... ...
자연과 함께 재미있게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15
귀여운데다 자연을 해치지 않는 친환경 베티, 정말 기특하죠? 이대 야생조류
연구회
에서 학생들이 직접 만든 새 가면. - 김정 기자 ddanceleo@donga.com 제공 ● 생태문화 100배 즐기기!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어떻게 달라요?” 지사탐 스태프 팀인 ‘닥터구리’가 운영하는 개구리 부스에는 ... ...
[바로잡습니다] 과학동아 5월호 시사기획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 끝에 서다' 중 일부 내용을 바로잡습니다
과학동아
l
2016.05.27
2013년부터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현재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소속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은 2015년 기준으로 정규직과 유사한 업무를 하는 비정규직에게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또 41쪽 이성우 공공연구노조 위원장(현재는 임기 종료)의 인터뷰 중 “최근 ... ...
국책 연구, 전문 평가위원이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고 평가한다
2016.05.11
된다. 책임평가제도는
연구회
가 운영하는 9개 융합연구단에 먼저 도입될 예정이다.
연구회
는 이후 제도 개선과 보완을 통해 추가로 선정되는 융합연구단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이상천 이사장은 “융합연구단과 책임평가위원제를 통해 우리나라 연구개발 평가 시스템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 ...
이상천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이사장
2016.04.07
위해서다. ‘1호’ 기부 주인공으로는 25개 출연연을 통합 지원하는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이상천 이사장이 나섰다. 이 이사장은 “과학동아는 30년 동안 통권 350호를 넘긴 국내 대표 과학 잡지”라며 “학생들에게 과학을 전파하고 기존 독자층의 관심을 다시 한번 환기한다는 점에서 매우 ... ...
인공지능 개발? 바보야! 문제는 데이터야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3.31
위해서는 데이터 부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창조경제
연구회
이민화 이사장은 정부의 데이터 규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 이사장은 “우리나라는 개인정보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해놓았고, 공공정보는 망분리로 막아놓았다”면서 ... ...
[사이언스 브리핑] 미래부, 뇌신경모방칩 연구 시작 外
2016.03.23
국제학술지인 ‘에어로졸과학기술(AST)’의 편집장(Editor)으로 선임됐다. 미국 에어로졸
연구회
에서 발간하는 ‘에어로졸과학기술’은 기계공학 관련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등재 저널 중 상위 5% 이내의 저명한 학술지다. 박교수는 5월부터 유일한 한국인 편집장으로서 논문을 심사하고 게재 ... ...
당신이 알파고(인공지능)가 두려워진 이유는?
2016.03.16
등에 대한 규제근거를 만들고 있고, 일본은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른바 ‘2045
연구회
’를 구성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구글은 딥마인드를 인수하면서 인공지능 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고 합니다. 인공지능으로 인해서 인간과 기계 사이에 대전쟁이 발발할 수 ... ...
AI에 놀란 한국, 기술격차 좁힐 ‘두뇌’가 없다
동아일보
l
2016.03.15
AI 분야의 박사 인력이 배출됐다. 당시 김진형 KAIST 교수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연구회
’가 창립되자 400명에 달하는 인재가 몰리기도 했다. ▼ “단기수익 못내도 구글처럼 지속 투자를” ▼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는 1990년부터 7년간 900억 원을 투자해 한국어를 알아듣는 컴퓨터를 만드는 야심 찬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