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탄소흡수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산림의 면적을 지금보다 더 늘리거나 현재 산림 내에서
단위
면적 당 탄소흡수량을 높이는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산림 면적을 크게 늘리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면, 한정된 산림 면적에서 탄소 흡수량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
동아사이언스·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SF 문화 활성화 맞손
수학동아
l
2023.03.15
최근 체결했다. 서울 이화여대에 위치한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표면과 계면에서 원자
단위
양자 효과를 제어하는 연구를 한다. 양자 과학과 나노 과학의 교차점에 있는 새로운 연구 분야다. 이런 연구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앰배서더 활동, 중학생을 위한 과학 체험 프로그램 ‘나노코믹’ ... ...
中 지리자동차가 3년내 위성 72기 발사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스마트 드라이빙’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 위성 네트워크를 구축해 차량이 cm
단위
로 정밀한 위치파악 성능을 갖추도록 하고 고정밀 지도를 제공해 차량의 완전 자율주행을 실현하는 게 목표다.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인터넷 ‘스타링크’와 연계를 ... ...
메타버스 대중화 AI반도체 나왔다...GPU 대비 911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이미지를 그려낼 때 필요한 연산량을 최소화하도록 했다. 복셀은 3D 공간에서 정규 격자
단위
의 값을 뜻한다. 메타브레인은 100 FPS(초당 나타내는 사진수) 정도의 이미지 생성 속도를 냈다. 이는 기존 GPU보다 약 911배 빠른 속도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1개 이미지 처리당 소모에너지 역시 GPU 대비 ... ...
[출연연 NOW] ③연구경쟁력 옥죄는 'PBS'..."탈출구가 안보인다"
2023.03.06
연구사업 기획이나 예산 배분, 수주 및 관리 등 연구 관리체계 전반에 대해 프로젝트
단위
를 중심으로 경쟁 체제로 운영하는 게 골자다. 연구 책임자는 직접 연구과제를 섭외하거나 연구과제 수주 경쟁에 참여해 과제를 확보한다.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효율성 확보와 출연연의 성과 확대를 ... ...
뇌세포와 컴퓨터 '콜라보'...바이오컴퓨팅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구조로 배양한 세포에 비해 뇌세포 밀도를 1000배 가량 높일 수 있다. 이는 신경계의
단위
인 뉴런을 더 많이 연결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뜻한다. 연구팀은 2012년부터 인간 피부 세포를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재설계해 뇌세포로 성장시키고 기능성 오가노이드로 만들어내는 방법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면역세포로 암세포만 공략하는 CAR-T 핵심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대규모 암세포·정상세포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모든 유전자 조합에 대한 세포
단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암세포만 특이적으로 공략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원영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이산화바나듐을 전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600나노미터 길이의 통로로 활용해 여러 개의
단위
소자로 이루어진 병렬 구조로 제작했다. 인간 뇌의 여러 개의 세포가 서로 이어져 있는 뉴런-시냅스 구조를 모방한 것이다. 뉴런의 스파이크 신호가 다양한 연결 강도를 갖는 시냅스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 ... ...
코로나로 청소년 SNS 사용 증가...영향 연구는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SNS 수용이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집단
단위
로 평균치를 내는 기존의 연구 방법이 개인적 성향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개인맞춤형 연구 활용하고 장기 추적 조사해야 SNS가 청소년 정신건강과 인지발달에 미치는 ... ...
"출연연 연구자 정년 65세로 환원해 사기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계획이다. 석학 연구원은 연구직 1~3% 이내로 선발을 고려하고 있으며 65세 이후에는 3년
단위
의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자격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는 김 이사장이 2021년 7월 취임한 후 두번째로 가지는 간담회다. 김 이사장은 “이사장 임기가 반이 꺾였고, 신년을 맞아 1월 중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