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뉴스
"
곤충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바람에도 꿋꿋하게 서 있는 나무들을 닮았다. 사실은 왕녹나무좀(Xyleborus mutilatus)이란
곤충
을 찍은 것이다. 호숫가에 나란히 심은 것처럼 보이는 나무는 왕녹나무좀의 머리에 있는 강모다. 강모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나무를 파고 들어가거나 알을 깨고 나올 애벌레의 ... ...
원숭이가 '예의없는' 인간보다 낫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귀가 인상적인 ‘마모셋원숭이’. 이들은 열대우림에 집단으로 서식하며 열매나
곤충
,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최근 미국 연구진이 마모셋원숭이가 서로 소통할 때 '예의'를 지킨다는 사실을 밝혀내 화제다. 사람 이외의 동물이 대화할 때 예절을 지킨다는 연구결과는 이번이 처음으로 ... ...
장속 공생균이 해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공생균을 가진 경우 장 발달이나 성장 속도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
곤충
의 장내 공생균이 인간의 장내 공생균과 무관하지 않아 인체에 대한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기도 해 공생균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목격했다. 커다란 날개를 펄럭거리면서 날아가는 녀석들을 보면 ‘나비는 참 아름다운
곤충
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다가도 어떻게 저런 형태로 진화했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벌이나 잠자리에게 투명 필름인 날개가 몸통을 공중으로 띄워 이동하게 하는 수단이라면, 나비 날개는 비행의 수단이자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09.26
최초”라고 말했다. 플랜트호퍼는 날개가 없는 대신 강 한 뒷다리 힘으로 뛰어다니는
곤충
. 그런데 공중에서 몸의 방향이 비틀리는 일 없이 원하는 대로 날아가기 위해서는 두 다리가 동시에 땅을 박차야 한다. 플랜트호퍼의 두 다리는 30마이크로 초(1마이크로초는 10만 분의 1초) 이하의 오차로 ... ...
'모기 입돌아간다'는 처서도 지났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적합한 환경이 많아 전염병이 확산될 위험이 크다. 신이현 질병관리본부 질병매개
곤충
과 연구관은 “작은빨간집모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하는데 따뜻한 공간이 많을 경우 활동 기간이 길어진다”며 “빌딩 정화조 등 따뜻한 공간이 많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모기에게 물릴 확률이 더 높을 ... ...
인류 문명 알고보니
곤충
이 이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인간의 문명 발달에 지금까지 어떤 도움을 선사했는지 살펴보면 무심코 날아다니는
곤충
도 새롭게 보일 것이다. 예스24 제공 ◆과학의 숨겨진 이야기(장-피에르 랑탱 著, 문예출판사 刊) 오류와 실책, 오인, 오역, 계산 착오, 공상, 착각, 환각 등은 과학과 연결시키기 어려운 단어라는 것이 ... ...
"내가 바로 곤드와나의 3억5000만살 먹은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커지고 구조도 복잡해졌다. 대륙에 식물이 등장하자 곧 식물의 잔해를 먹는 원시
곤충
이나 노래기 같은 무척추동물이 등장했고 4억 1600만 년 전 실루리아기 말에는 초기 육상생물을 먹고사는 또 다른 무척추동물인 거미와 전갈이 등장했다. 이 초기육상생물이 만든 생태계는 이후 3억5000만 년 ... ...
'플라스마'로 난치병 치료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있는지 그 원리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이영 서울 원광초 교사는 ‘메뚜기목
곤충
애벌레의 날개 발달’이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30일 오후 6시 30분부터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5개 도시에서 연다. ... ...
수컷에는 없고 암컷에는 있는 것은?
과학동아
l
2013.08.20
연구결과가 나왔다. 식물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유독 물질을 만든다. 따라서
곤충
들은 알을 낳기에 적합한 식물을 찾아야 한다. 아드리아나 브리스코 미국 캘리포니아대 생태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멕시코 열대우림에 사는 헬리코니우스(Heliconius)라는 나비 종의 암컷이 알을 낳기 전에 하는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