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성향이 보수적인 방송인과 정치인을 풍자 대상으로 삼는다.실험 참가자는 둘로 나뉘어
한쪽
은 2008년 미국 대선 당시 콜베어가 보수파인 공화당의 맥케인 후보를 조롱하는 영상을 봤다. 다른 참가자들은 맥케인 후보가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SNL)라는 코미디 프로그램에 출연해 자학개그를 한 영상을 ... ...
내 몸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보인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세상에서 본인이 가장 옳고 멋지다고 생각하는 반면
한쪽
으로는 ‘보잘것없는 나를 알아주지도 않는 더러운 세상!’ 같은 대사를 내뱉는다.나중에 되돌아 보면 부끄러워질 정도로 10대 청소년들은 본인들이 감당하기 힘든 큰 변화를 겪는다. 제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소리굽쇠의
한쪽
끝과 램프가 수평을 이루도록 놓는다.❸ 바닥과 수평인 소리굽쇠의
한쪽
끝과, 망원경처럼 생긴 장치가 수평을 이루도록 놓는다. 이 장치 앞에는 작은 거울이 달려 있고, 뒤에는 검은 스크린이 있다.❹ 소리굽쇠에 빛을 반사시키면 소리굽쇠의 진동이 검은 스크린에 도형으로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구팀이 만든 장치는 가운데 투명한 막이 있는 상자다. 양 칸에 쥐를 한 마리씩 넣고
한쪽
쥐에게 전기 자극을 준다. 이 상황을 보는 다른 칸의 쥐는 덩달아 두려움을 느낀다. 쥐는 두려움을 느낄 때 얼어붙은 것처럼 꼼짝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데, 이를 ‘프리징(freezing)’이라고 한다. 프리징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는 임의의 양자 상태를 관측해 일시적으로 중첩 상태를 붕괴시킨다. 측정을 통해
한쪽
양자 상태가 확실해졌기 때문에 중첩 현상이 사라진 것이다. 이렇게 관측하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양자 상태를 보내는 쪽은 양자 상태의 ‘고전적 정보’를 얻게 된다. 그리고 관측하기 전 원래의 양자가 ... ...
생각으로 조정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머리에 센서를 달았어요. 이 센서는 뇌파를 잡아 로봇에게 전송할 수 있어요. 환자는
한쪽
으로 몸을 틀거나 손가락을 구부리는 상상을 했어요. 놀랍게도 멀리 떨어져 있는 로봇이 움직였어요.과학자들은 이 로봇이 몸이 불편한 사람을 도와 주는 것은 물론, 위험한 작업장에서 사람 대신 일을 할 수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먹어버린 듯 멍멍한 상태에서 나는 필사적으로 두리번거렸다. 상황을 파악해야만 했다.
한쪽
벽과 천장이 함께 날아가 별빛이 그대로 쏟아지고 있었다. 본부로부터 무전이 왔다.“남서쪽으로부터 레일건 포격이다.”“거리는 얼마나 됩니까?”대답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다.“스텔스 탱크(투명 전차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기다리던 기자는 의외의 물건을 발견했다. 사진을 찍을 만한 적당한 공간을 물색하던 중
한쪽
구석에서 캠핑 장비와 헬스 용품을 발견한 것이다. 아주 열정적이고 활동적인 교수님을 만날 것 같다는 예감이 드는 순간 장래혁 교수가 늦어서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사무실에 들어섰다. 예상대로였다.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잘 보여준다. 수학 기호 플러스(+) 모양의 이 미로는
한쪽
은 벽이 없이 노출된 길이고
한쪽
은 터널처럼 된 구조다. 처녀 쥐들은 시간 대부분을 떨어질 위험성이 있는 노출된 길보다는 터널 길 속에서 보낸다. 반면 출산 경험이 있는 쥐들은 수시로 노출된 길에 머물면서 주위를 둘러본다.어미 쥐들이 ... ...
[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갑자기 흥미가 솟았다. 똑같이 여러 특성이 결합한 동물인데 왜
한쪽
에서는 괴물이 됐고
한쪽
에서는 신성한 동물이 됐을까. 혹시 괴물이라는 분류는 임의적인 것이 아닐까. “이 사진을 봐. 불과 100여 년 전에 있었던 사람의 모습이야. 뭔가 이상하지 않아?”“어? 이건 어떻게 된 건가요? 몸에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