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양성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자연과학 전공자와 광산기술 전공자들을 많이 배출했다.한편 의약 분야의 경우 이공계와는 달리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관립인 경성의학전문학교, 사립인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를 필두로 무려 7개의 전문학교가 운영됐다. 과학 배우러 일본, 미국으로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용량의 스토리지, 냉각 시스템 등이 탑재됐다. 실험 단계라 큰 규모는 아니지만, 500만 편의 영화를 저장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이다. 이외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이 연결돼 있다. MS는 “이 정도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 데 90일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지요. 60진법은 이렇게 60을 기준으로 단위가 올라간답니다. 한편, 디지털에서는 2진법이 쓰여요. 10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 열 가지 수를 사용하지만 2진법은 0과 1만을 사용해요. 컴퓨터가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전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때로, 두 개이기 때문이에요.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특성상 어려운 한자보다는 한글로 본문을 작성했고, 활자도 다른 잡지에 비해 덜 빽빽한 편이다. 또 한 면을 모두 사진과 삽화로 채우는 등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구성을 선보이기도 했다.김 교수는 “앞선 두 잡지에 비해 백두산과 백두산이학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며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는데, 특히 ‘아스다’라는 대형 마트에서 각종 식재료들을 아주 싼 값에 판다. 편의점에서 유통기한이 지나기 직전인 식품이나 아스다의 할인을 잘 노려서 생활하면, 한 달에 약 5만~6만 원 선에서 건강한 식단으로 끼니를 해결할 수 있다. 타 대학들에 비해 임페리얼칼리지는 학식이 싸고 ... ...
- Part 1. 수포자 문제, 어떻게 하면 좋을까?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인터뷰해온 각 반의 수포자 사연을 들어봤습니다. “제 친구 성규는 공부를 곧잘 하는 편인데도 수학은 싫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원주율을 배우면서부터 수학이 싫어졌다고 하네요._이준” “요즘 수학이 너무 싫어서 걱정이 많아요. 중요 과목이라 포기하고 싶지는 않지만 수업 시간만 ... ...
- [시사과학] 보이지 않는 살인자 일산화탄소 중독을 막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이에요. 잠을 잘 때는 난방기구를 끄거나 텐트 밖에 두는 편이 좋아요. 또, 텐트나 캠핑카의 출입문과 창문을 완전히 닫지 말고 수시로 환기를 해줘야 해요. 긴급! 일산화탄소에 중독됐다면!?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알려준 방법으로 응급처치를 해봐요! 먼저, 모든 창문을 ...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작품과 동시에 만들려고요. 관객들과 자주 소통해야 하는 대중적인 예술가가 8년에 한 편씩만 만들면 안 될 것 같아요. 다음엔 더 빨리 찾아올게요.(웃음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원자력발전소가 많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2014년 기준 뉴욕과 샌프란시스코는 연간 약 49메가톤(Mt), 런던은 연간 약 40M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록한 데 비해 파리는 연간 약 5.5Mt에 그쳤다. 베장 연구원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전자를 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초로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자르거나 넣어 ‘편집’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1970년대다. 이탈리아 미생물학자인 살바도르 루리아와 주세프 베르타니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대장균 감염 능력을 연구하던 중 특정한 6~8개의 염기서열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