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멀수록 두
지점
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했다. 특히 두
지점
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지점
사이 거리의 거듭제곱에 비례해 줄어들었다. 이것은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의 대표적인 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와 같다. 더 놀라운 건 고흐가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웠을 때 그린 그림일수록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가장 많은 꿀을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격자세포도 최소의 격자세포
지점
으로 최대한 많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정육각형의 배열을 이용한다.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발견은 뇌가 전기신호를 이용해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었다.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자기보다 뒤에 있는 코끼리의 소변냄새가 난다는 게 이상했던 모양입니다. 자기보다 그
지점
을 먼저 통과했을 가능성이 없으니까요. 연구팀도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런 행동을 볼 때, 코끼리가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 또 자신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안다는 의미로 해석했지요. 추가로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3호의 공이 컸다. (라그랑주점 : 지구와 태양이 서로 당기는 힘(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
이다. 탐사선이 라그랑주점에 도착하면 태양이나 지구에 끌려가지 않고 정지한 채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5년 뒤인 1983년, 지구에는 75년 만에 찾아온 핼리혜성 열풍이 불었다. 핼리혜성을 가까이서 보기 위해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후로도 2년째 초속 17km의 속도로 태양에서 멀어지고 있다. 현재는 125AU를 넘은 떨어진
지점
을 통과하고 있다.NASA의 우주과학자들이 내가 태양권을 벗어나 성간공간에 들어갔다고 결론지은 데에는 이유가 있다. 내가 보낸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과 2012년 사이에 변화가 컸다. 태양풍 수치는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
과 먼 거리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
을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를 기존보다 훨씬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중심별에 먹힌다. 이 때문에 행성을 이루는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
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물론 중심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부풀어 올라도 가까이 있는 행성을 삼켜버릴 수 있다. 우리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으므로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결과에 따라 다른 출력을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 양자컴퓨터에서 미묘한 문제가 생기는
지점
이다.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측정을 하면 중첩이 깨진다. 측정하지 않고 분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지난 호에서 다룬 EPR의 역설, 즉 벨의 상태가 필요한 이유다. 벨의 상태를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선발돼 화석을 보러 간 적이 있다. 탐험가 문경수 씨가 베이스캠프 남서쪽 12km
지점
의 지층에서 화석 파편을 발굴하고 있다. 지표에 드러난 공룡 화석 파편은 쓸려왔을 가능성이 커 학술적 가치가 적다. 발굴 며칠만에 어지간한 공룡뼈 화석은 거들떠도 보지 않게 됐다.➊ 이융남 관장이 발견한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곳으로 이동한다. 블록이 없는 곳을 파악하면 지고 온블록을 내려놓는다. 그리고 처음
지점
으로 다시 돌아온 다. 그 결과, 연구팀이 미리 설정한 피라미드 같은 구조 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연구에 참여한 라디카 나그펄 교수는 “이번 개발의 획기적인 점은 기존 로봇이 중앙통제시스템을 이용했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