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모두 가질 수 있어요. 더 놀라운 점은 각 버튼의 효과를 여러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몇 가지 규칙만 지킨다면 말이에요! 여러분이 답안을 작성할 때는 다음 세 가지가 반드시 포함돼야 해요. ① 버튼의 효과② 버튼을 사용해서 돈을 무한히 벌 수 없다는 논리적인 설명③ 버튼을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사뭇 달라졌다. 많은 국가와 기업이 인터넷을 유지하는 기반 시설에 투자하면서 점점 더 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처음의 인터넷을 만드는 데 공헌했던 자유와 평등이라는 이상은 앞으로도 유지될 수 있을까? 최 위원은 “평등한 인터넷을 위해서 국가와 기업만큼 시민단체, 연구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용암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용암 파쿠르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공간을 블록으로 채우지만 블록들이 아이템 형태로 떨어진다는 점에 차이가 있지요. ‘외곽선’과 ‘파내기’는 둘 다 직육면체 공간의 가장자리에만 블록을 놓아요. 다만 ‘외곽선’은 직육면체 공간 안쪽에 원래 있던 블록들을 그대로 두고 ‘파내기’는 없앤답니다. 두 ... ...
- [출동! 슈퍼M] “선풍기 날개 많으면더 시원한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바람을 일으킨다는 점, 에어컨과 달리 스스로 차가운 바람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는 점이 같아요. 그럼 선풍기와 공기순환기는 어떻게 구분할까요?선풍기는 전기의 힘으로 내부에 있는 모터를 회전시켜요. 모터가 날개를 회전시키며 바람을 만들지요. 선풍기의 바람은 직선으로 짧게 뻗어 나가므로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발전시켰어요. 그와 저는 대학, 지역 등 다른 배경에서 살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점이나 아이디어를 갖고 있거든요. Q. 앞으로의 목표가 무엇인가요? 밀먼 : 다양한 문제를 풀고 싶어요. 수학은 끝이 없는 여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제가 만나는 문제가 계속 달라질 거예요. 5년 전만 해도 제가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크기가 같으면 양수가 음수 앞에 오도록 정렬한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순서 →a의 경우 어떤 부분 집합은 순서가 가장 빠른 원소인 최소 원소를 가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양의 정수의 집합 {1, 2, 3, 4, ...}은 최소 원소 1을 가지지만, 음의 정수의 집합 {-1, -2, -3, -4, ...}은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먹겠죠. 더 이상 먹을 게 없어진 언젠가부터는 호킹 복사에 의해 블랙홀은 점차 작아지며 소멸할 겁니다. 그리고 결국 블랙홀이 방출한 아주 가벼운 입자만 남을 겁니다. 블랙홀도 없는 쓸쓸한 우주의 끝이죠 ... ...
- 네, 그래서 이과가 금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배기가스의 유해물질 제거, 비료 생산, 신약개발 등 다양한 반응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촉 가 더 나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촉매는 어디까지나 ‘일 날 반응 을 일어나게 해주는 물질’이라는 한계도 명확 합니다. 당을 분해하면 이산화탄소가 나와야 해요. 갑자기 금이 튀어나 오는 일은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매우 오랫동안 생물계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줍니다. 진화의 위대한 점은 바로 이 점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최승. 중국과학원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화석알과 현생알의 다양성과 진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seung0521@gmail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메커니즘을 이미징 기술 을 활용해 유전체 3 차 원 구조의 변화로 설명하려 한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조그마한 나노미터 사이즈의 단백질이 고장난 유전자를 빠르게 인식하거나 DNA구조를 바꾸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며 “외과 의사처럼 어디가 고장났는지 찾은 다음 여러가지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