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당혹스러웠다. 400년도 더 전에 비행기가 날았다고 했다. 연도 아니고 글라이더도 아니고 무인기도 아니라고 했다. 동력기였고, 사람이 탔다. 그리고 하늘을 날았다. 그것도 조선 하늘을. 일본군에 포위된 진주성을 새처럼 날아 넘어가 사람을 구했다고 했다. 이런 이야기를 진지하게 연구해 책을 쓴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장마철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의 90%가 집중되는 시기다. 5년 전 18명의 사망자를 낸 서울 우면산 산사태(사진)와 13명의 사망자를 낸 춘천 마적산 산사태도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7월에 일어났다. 사전 예측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지만, 자연재해 예측은 변수가 너무 많아 성공 사례가 거의 없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어딜 가도 그림 같다.’ 스위스에 다녀온 분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입니다.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스위스는 자연과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죠. 연구소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가속기 연구 분야의 세계 최고 기관으로 꼽히는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Paul Scherrer Institute, PSI)는 한가운데에 에메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공 광합성 연구는 요즘 ‘핫’한 주제다. 너무 많아서 고민인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니, 꿩 먹고 알 먹는 연구다. 인공 광합성의 핵심은 ‘식물의 광합성 회로를 인공적인 재료로 얼마나 잘 구현하는가’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수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것 봐! 내 말이 맞잖아!”뜬금없이 무슨 말이냐고? 흠흠…, 일단 내 소개부터 해야지. 친구들 안녕! 나는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이야.내 입으로 ‘천재’라고 하는 게 민망하지 않냐고? 아니, 전혀~! 최근에도 내 천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든. 내가 100년 전에 ... ...
- [기자단 소식] 일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여름 방학 때 우리 가족은 삿포로로 여행을 갔습니다. 삿포로에 가는 김에 일본에서 가장 유명하다는 아사히야마 동물원에 큰맘 먹고 한번 가 보기로 했습니다. 삿포로 시내에서 동물원까지는 2시간 동안 JR 기차를 타고간 후, 다시 버스를 1시간 동안 타야 하는 먼 거리였습니다. 하지만 저와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0년 이상 인간의 ‘아바타’ 역할을 해 온 실험동물. 동물실험에 문제의식을 느낀 사람들은 1979년부터 ‘세계실험동물의 날’을 정하고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여 왔다. 그리고 최근 과학자들은 급속도로 발전한 과학 기술을 도구로 실험동물의 해방을 꿈꾸고 있다.1903년 2월 2일. 영국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국내 최대 과학분야 웹사이트 중 하나인 ‘브릭(BRIC)’이 5월로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았다. 브릭은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 당시 생명과학자들이 집단지성으로 연구부정을 밝혀내면서 유명해진 웹사이트다. 경북 포항에서 브릭 운영진을 만나 지난 20년의 이야기를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을 선물했다. 하지만 그 결과로 제우스 신의 노여움을 사게 됐고, 바위에 쇠사슬로 묶여 독수리에게 심장을 뜯어 먹히는 형벌을 받는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그는 엘브루스(Elbrus) 산에서 형벌을 받았다. 엘브루스 산은 러시아 코카서스 ... ...
- [과학뉴스] 미국지진학회지(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학을 보는 창, 저널지진에는 늘 ‘규모’와 ‘진도’라는 말이 따라다닌다. 규모는 지진에서 발생한 에너지의 크기, 진도는 지진이 영향을 미친 지역의 피해 정도를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척도를 가장 많이 쓴다.두 척도는 모두 1930년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