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변을 조사해 냄새가 나게 하는 물질을 찾았어요. 나이나 성별뿐만 아니라 수컷의 영역표시, 배란기인 암컷의 대변에서 각각 다른 냄새가 난다는 것도 알아냈지요. 그리고 수컷의 대변 냄새와 배란기에 있는 암컷의 대변 냄새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가짜 대변 더미에 뿌렸어요. 그리고 나서 수컷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저항이 낮아진다.멤리스터의 TiO2 층은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눠져 있어 한 쪽은 산소 공공이 많고, 다른 한 쪽은 수가 적다. 이 상태에서 전위차가 발생하면 산소 공공이 이동하게 되고,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며 전류량이 증가한다. 전원이 꺼져 전류의 공급이 ... ...
- [수학뉴스] 수학의 모든 것 지도 한 장에 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월 1일 미국 유튜버 도미니크 월리먼이 수학의 역사와 세부 분야, 활용 영역을 담은 수학 지도를 만들어 화제입니다. 지도는 가운데 노란색 원에서 시작합니다. 수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수 세기와 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0의 발견 등 수학의 기원을 간단한 그림과 함께 보여줍니다.이 원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대구와 부산, 광주와 대구를 선으로 이으면 그래프가 됩니다.어떤 지도든 지도의 각 영역에 꼭짓점을 그리고 두 꼭짓점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어서 그래프를 만들면 평면 위에서 어느 두 선도 교차하지 않게 되는데요, 이처럼 어느 선도 교차하지 않는 평면위의 그래프를 ‘평면그래프’라고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전에는 기대하지 않았던 성질”이라며, “나노 분야에서 아직 연구하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 많이 남아있어 많은 연구팀이 새로운 성질의 나노 입자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몸은 수많은 세포로 이뤄져 있다. 생명 활동을 유지하려면 세포가 필요한 물질을 받아들이고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관은 없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미로골낭 바로 뒤에 있는 구멍이 속귀와 통하는 영역이 더 넓었다. 그만큼 소리의 충돌이 줄고, 그 결과 이전 시대의 파충류보다 더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의 음들을 정확히 구별할 수 있었을 것이다.균형감각에 중요한 반고리관도 이전 시대의 파충류보다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개인이 스스로의 수명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운동이나 식습관과 같은 개인의 영역, 즉 ‘프라이빗에이징시대’가 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영양학, 생물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이 함께 포괄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융합 레시피독창성 × 친화력국내외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영상 정보가 대뇌의 일차시각피질(시각 정보가 대뇌에 일차적으로 들어오는 영역으로 뒤통수 아래 부위, 즉, 후두엽에 위치한다)로 직접 전달되는 것으로 설정돼 있는데, 현실에서는 쉽지 않다.이 설정은 원래 이런 배경에서 나왔다. 인간 뇌의 시각피질은 시각위상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어서,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EU의회의 마디 델보 의원은 연구 배경에서 “점점 더 많은 일상 생활의 다양한 영역이 로봇공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로봇이 인간에게 봉사하는 상황을 보장하기 위해 강력한 법적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다양한 내용 중 이목을 끄는 건 단연 “장기간에 걸쳐 정교한 자율로봇의 법적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다시 걸을 수 있게 하려면 실제로 걷는 것과 똑같이 다리를 움직여 줘야 한다. 대뇌 운동영역을 자극해, 뇌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다(뇌 가소성).이 때, ‘외골격 로봇’이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외골격 로봇은 ‘몸 밖에 입는 로봇’이라는 뜻으로, 군사용 외골격 로봇의 경우 무거운 물건을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