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30cm라 하고 건물 한편의 길이를 10척으로 설계하면, 그곳의 길이는 30cm×10척=300cm=3m가 되는 식이다. 건축 문화재를 복원하거나 보수할 때도 이 개념이 중요하다. 문화재는 보통 오래됐기 때문에, 마모되거나 틀어지는 등 훼손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연히 없어진 부분도 많다. 이 부분을 추정해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됐어요”라고 소감을 밝혔다. 함께 준비한 2학년 이승철 군은 “그동안 수학이 정해진 공식에 따라 문제를 푸는 과목인 줄만 알았지만, 이번 캠프에서 각종 게임이나 모둠 활동을 통해 수학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어요”라며, “앞으로 수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친구들과 여러 활동을 하며 수학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아래 n번째 자릿수가 다르다. 즉, 실수 0.6382336…는 이 목록에 없는 수다. 칸토어는 이런 식으로 언제나 자연수와 짝지어지지 못한 실수를 찾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따라서, 실수는 자연수보다도 더 많고 무한호텔에 방이 무한히 많아도 투숙할 수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면 유리수도 호텔에 묵을 수 있다. 그 방법은 여러 가지인데 그 중 하나는 오른쪽 도식과 같다. 자연수와 유리수의 개수를 세면 자연수 집합의 크기와 유리수 집합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어느 무한집합이 더 클까? 또는 같을까? 자연수 집합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집합은 자연수 집합과 크기가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경쟁률, 집단의 성장률, 집단간의 이동률을 변수로 하는 미분방정식을 만들었어요. 이 식으로 시간에 따라 집단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시뮬레이션했지요. 그 결과 내부 경쟁 정도에 따라 공존 형태가 바뀌었어요. 내부 경쟁이 없을 때 바위와 가위처럼 한쪽이 이기는 집단은 함께 공존하지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간은 지수 분포★를 따르며 평균 1분이라고 가정했어. 이를 바탕으로 평균 대기 시간 공식에 값을 넣어 오른쪽 그래프를 그렸지. 푸아송 분포★단위 시간 안에 어떤 사건이 몇 번 일어날지를 확률로 나타낸 것. 사람들이 완전히 무작위로 화장실을 찾을 때 방문자 수를 예측할 수 있다.지수 ... ...
- [과학뉴스] 초고지방식 먹은 쥐가 장수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식을 먹은 쥐 그룹이 선두를 달렸다. 램지 교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케토제닉 식단이 인간의 수명과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지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met.2017.08.00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간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 간세포는 혈관내피성장인자를 분비해 혈관 내피세포를 증식시켜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간세포와 내피세포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간을 회복시키는 셈이다. 하지만 간경화나 간암 등으로 간 조직이 지나치게 많이 망가지면 결국 혈관 내피세포도 손상돼 회복이 어렵다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원본”이 맞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일도 그다지 까다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 시절 복식은 충분히 연구가 돼 있거든요. 아마 1-2년 범위 안에서 연대를 특정할 수 있을 겁니다. 불러만 주세요. 결론은 최대한 빠르게 내 드리겠습니다. - 존경하는 김은경 선생님, 선생님은 정말 여전하시네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정확한 법식(式)을 아는지 말(言)을 시켜 알아보는 시험’이란 의미로 만들어졌지요. 시식(試食), 시도(試圖) 등에 활용된답니다.‘송곳 추(錐)’는 ‘쇠 금(金)’과 ‘새 추(隹)’가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새 추(隹)’는 ‘새, 가늘다’ 등의 뜻을 담고 있어요. 즉, ‘쇠를 가시 모양으로 가늘게 한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