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기본 단위인 세포는 최소 에너지로 최대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회로를
수정
하고 새로 만들기를 반복한다. 세포 역시 컴퓨터처럼 계산하기 위한 회로와 메모리를 가지고 프로그래밍을 한다. 세포를 프로그래밍해서 원하는 물질을 만들어내는 기술은 이미 나와 있다. 앞으로 수많은 세포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피터 굿펠로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SRY만 따로 떼어내 생쥐의
수정
란에 넣었다. 그렇게 태어난 쥐 중 X염색체 2개와 SRY를 가진 쥐를 골라내 조사했다. 그 결과 SRY가 들어가면 성염색체가 XX더라도 수컷으로 자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사람도 마찬가지다. 여자임에도 X염색체에 SRY유전자가 붙어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가능하다.2-2)번 문제를 살펴보자. 공기에서
수정
체로 빛이 진행할 때에 비해서 물에서
수정
체로 빛이 진행할 때 굴절이 더 작게 일어날 것이다. 이는 앞의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물이 공기보다 훨씬 더 밀한 물질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초점거리가 길어질 것이기에 물 속에서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 계속 지형을 측정하며 인공위성으로 미리 관측한 지형과 대조해 실시간으로 궤도를
수정
하며 날아가기 때문이다. 제트엔진으로 날아가는 무인비행기에 가깝다. 반면 탄도미사일은 발사 시에만 로켓의 힘으로 날아간다. 발사 후에는 자유낙하하는 방식이어서 정확도가 낮지만 많은 양의 폭약을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리게 된다. 이렇게 그린 그림은 연구자가 다시 검토한다. 잘못 표현된 부분이 있으면
수정
한다. 이 과정을 몇 번 거쳐 그림은 완성되고 보도자료에 포함돼 언론에 배포된다.이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야 할지 심사숙고하며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게 중요하다. 지난 2월 22일에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맞춰 PC에서 개발한 뒤 무선랜을 통해 로보랩에 설치하면 된다. 여러 번 테스트와
수정
작업을 거치면 점차 원하는 서비스 로봇이 완성될 것이다. 팔이 필요하다면? 이때는 부가 옵션인 팔을 붙이고 팔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가한다.[실버케어 로봇 찰리는 노인들을 위해 간단한 심부름을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작동한다고 추측했죠.과학에서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는 발생학이 아닐까요.
수정
란에서 완전한 형태의 개체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니까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쥐도 발생학을 연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미 쥐의 자궁속에서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핵에는 환자의 체세포 핵과 같은 DNA가 있다. 다음으로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해 복제
수정
란을 체외에서 배반포(포배) 단계까지 발생시킨 후, 배반포의 내부에 들어 있으면서 장차 태아로 발생할 부분인 내세포괴만을 채취해 적절한 조건으로 배양시키면 환자맞춤형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Q31 ... ...
착시, 예술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는 뭔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 우리가 보는 이미지나 정보는 누군가에 의해 복사되거나
수정
되면서 왜곡되는 경우가 많답니다. 작가는 이렇게 원본이 달라지는 현상을 착시를 이용한 작품으로 표현했어요. 이 작품도 원근착시를 이용해 어떤 위치에 서면 자동차처럼 보이게 해요. 이처럼 착시는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도와 주거든. 우리 눈이 바깥에서 활동하기에 적합하게 돼 있어서 실내에만 오래 있으면
수정
체와 망막 사이가 멀어져 근시가 생기거나 심해진다고. 영국의 캠브리지대학교의 저스틴 셔윈 교수팀은 어린이와 청소년 1만 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를 분석했지. 그 결과 바깥에서 보내는 시간이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