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뿔공룡?티라노사우루스의 화석이 처음 학계에 보고된 것은 1890년이다. 하지만 발견된 부위는 고작 골반 일부와 발바닥뿐이었다. 그래서 이것을 연구한 미국 예일대의 오스니엘 마시는 이 화석의 주인이 무시무시한 육식공룡인 줄 몰랐다. 그는 이 발바닥 화석이 오르니토미무스라고 불리는 타조공룡 ... ...
-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때문이다. 자동차로 치면 기름이 떨어질 때마다 차를 바꿔야 하는 셈이다. 고장 난 부위를 수리하기도 힘들다. 이런 낭비를 줄이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정비부서(SSCO)는 인공위성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하며 연료까지 공중급유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해 7월 21일 국제우주정거장(ISS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불가능하다”며 “특히 말초신경과 달리 중추신경은 현대의학에서 절대 재생이 안 되는 부위”라고 말했다.인류 최초의 이식 수술은 61년 전인 1954년에 이뤄졌다. 미국의 외과의사 조셉 머레이가 유전자가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 사이의 신장 이식을 성공한 것이다. 1962년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파사몬티 박사팀은 디지털 중독 환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세로토닌이 줄어들면 분노 조절이 어려워서 쉽게 화를 낼 뿐 아니라, 충동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디지털 중독인지 아닌지 수학으로 ...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않고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앞서 부식된 철제 칼의 예에서처럼, 내부의 부식 여부를 부위별로 상세히 알아보기도 합니다.권 연구사는 박물관에 가면 마음 편히 유물을 보지도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청동 유물이 전시돼 있으면 먼저 그 아래에 혹시 가루가 떨어졌나 그것부터 눈이 간다니까요.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밝은 불빛은 치명적이랍니다.반면 사람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은 상이 맺히는 망막 부위에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각 원추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되어 있는데, 그 크기가 아주 작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구별할 수 있어요. 그러나 원추세포가 반응하려면 수십에서 수백 개의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하지만 이에 반대되는 증거도 만만치 않다. 일례로 5hmC는 줄기세포나 증폭자 등 중요한 부위에서 자주 발견된다. 올해 6월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이 5hmC의 변형물 중 하나인 5fC가 존재 비율은 낮지만 발생에 따라 항상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 만약 이들의 진짜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과학자들이 15년 동안 발표한 연구 1000편을 분석해본 결과, 단일 감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는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예를 들어 사람들이 공포 감정을 느낄 때 편도체가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 기쁨이나 슬픔, 분노, 역겨움을 느낄 때도 편도체가 활발하게 반응한다. 김상희 고려대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많지 않았어요. 뇌를 직접 해부하는 방법밖에 없었지요. 우리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부위도 해부를 통해 밝혀졌어요.1860년대 프랑스 외과의사인 폴 브로카는 뇌전증*에 걸린 환자를 만났어요. 이 환자는 오른쪽 몸 전체가 마비됐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나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뇌에서 두려움과 관련된 대표적인 부위는 ‘편도체’다. (이 말이 편도체가 공포의 담당 부위라는 뜻은 아니다. 148쪽 참조)영국 런던대의 크리스 프리드 교수팀은 1996년, 피실험자에게 행복한 표정과 겁에 질린 표정의 사람을 각각 보여줬다. 그 결과 후자에서만 편도체가 활성됨을 알 수 있었다.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