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워크숍도 국내 유전공학 연구계에 기여한 바가 크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또 유전자를
배양
하는 효소를 자체개발해 국내에 무료로 보급한 것도 그의 연구진의 업적이다."사람의 피 한 방울, 머리카락 하나에도 유전자는 있고 그 안에는 그 사람에 대한 모든 정보가 들어 있지요. 이 유전자를 눈으로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등을 섞은 용액으로 pH를 인체와 같게한 것)과 여러가지 항생제를 주입한다. 24시간마다
배양
액과 항생제를 갈아주다가 72시간이 경과한 뒤 -1백86℃의 질소 냉동고에 보관하여 장기가 필요한 사람에게 이식 수술을 한다. 이때 이식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항면역제를 사용한다.기계 심장을 가진 ... ...
조개·콜라겐 이용, 손상된 뼈·피부 재생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손상된 환자의 경우 건강한 부분의 피부 한조각을 떼어내 이 시스템에서 약 3주일만
배양
하면 몇배나 되는 피부를 공급할 수 있다는 사실이 미국의 전미국화상센터에서 보고되었다.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우려만 없다면 직접 콜라겐 수용액을 결손 피부에 주사하여 성장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고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파스퇴르가 특이한 효모를 발견하여 최초로
배양
에 성공한 것을 인정, 그에게 이
배양
성 효모의 특허권을 주었다. 하지만 여러 가지 다른 효모들이 발견되면서 그의 특허권은 유명무실해졌다. 그 이후 미국의 특허청 법규는 모든 생명체는 이미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했다. 즉 생명체는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얻은 정액은 소정의 검사를 받게 된다. 무사하게 검사과정을 통과한 정액에
배양
액과 냉해방지제를 적당량 넣은 뒤 이것을 몇개의 스트로(straw, 작은 플라스틱 빨대)에 분리하여 넣는다. 그리고 스트로의 양쪽을 시멘트와 같이 굳어지는 물질로 막은 다음 -1백96℃의 액체질소 내에 보관하게 된다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감안한 사전 검토가 바탕이 돼야 할 것이다. 우리의 경우 산업기술력을 우선적으로
배양
하고 그 바탕 위에서 장기적으로는 기초기술, 거대기술에 도전하는 전략을 택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현실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초과학이 전혀 무시돼서도 안될 것이다. 여기서 산업기술을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바다에 비료를 퍼부어야만 할 것이다.해양생태학자들은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들을
배양
해서 살포하는 것이 자연군집을 변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인위적인 처방에 대해 대부분 회의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다. 기름으로 오염된 해안의 정화에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생기는 직접적인 효과일 수도 있지만 우주선이 발사될 때 받는 스트레스, 온도의 변화,
배양
기 내의 물 산소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불균형, 우주선 방사와 같은 특정 우주비행 충격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많은 식물들은 환경변화에 민감하나 빨리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규모 수소 생산공정 개발을 위해 늪지 호수 바다 등에서 광합성 미생물을 대량
배양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나 실용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빨라야 2010년 경에나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캐나다 독일 등에서는 값싼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학문의 벽을 허물었다. 종래에는 원예학과 식물학과에서나 다루던 식물세포 조직
배양
을 지금은 공과대학 약학대학에서도 취급하고 있다. 또 원예학과에서는 유전자를 다루기 위해 미생물을 수시로 다루고 있다. 유전자에 관해서, 생물공학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이들 전공분야간에 벽이 없다. 넷째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