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진열관
자료관
미술관
뮤지엄
유적박물관
유적
d라이브러리
"
박물관
"(으)로 총 1,104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보다 힘 센 물고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바이올로지 레터스’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시카고 필드
박물관
에 있는 화석을 토대로 이 물고기의 머리 부분 근육조직 모델을 만들어 턱과 이빨이 맞물리는 힘이 얼마나 되는지 컴퓨터로 구현했다. 그 결과 1cm2마다 평균 5600kg의 무게를 가할 수 있는 힘이었다. 앤더슨 박사는 “이 정도 ... ...
아들은 아빠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성별 결정에 엄마가 아빠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설이 우세했다.스페인 국립자연사
박물관
몬세라트 고멘디오 교수팀은 생식능력이 큰 수컷과 짝짓기를 한 붉은사슴 암컷이 암컷새끼보다 수컷새끼를 많이 낳는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수컷 붉은사슴 1 ... ...
서대문에 공룡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가장 큰 자연사
박물관
이 어딘 줄 아세요? 바로 서대문자연사
박물관
입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사나운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달려드는 화석과 거대한 티라노사우루스의 머리뼈 화석이 보이죠. 관람은 3층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지구환경관(3층)에서 우리 삶의 터전인 지구의 겉과 속을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기타큐슈 자연사
박물관
은‘생명의 여행’이란 주제로 진화의 역사를 보여 줍니다.자연사
박물관
에 전시된 화석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과거에 살았던 수많은 생명체의 숨결이 느껴져요. 게다가 생명체의 종류는 왜 이렇게 다양한지 놀랍기만 합니다. 지구가 우리인간만이 살아가는 곳이 아니라는 ... ...
조상의 슬기를 맛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쓰던 물건들이 현대에 아름답게 다시 태어난 모습을 보고 싶지 않으세요? 서울역사
박물관
은12월 10일까지‘전통과 현대의 만남, 어울림’이라는 특별전시회를 열고 있습니다. 유명한 무형문화재들이 전통 제품을 현대 감각으로 다듬어 서재와 주방, 베란다를 세련되게 장식했답니다. 체로 만든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유전자가 담긴 동물의 생체조직, 혈액, 세포, 정액, DNA 등을 보관하고 있단다.미국자연사
박물관
은 곤충에서 고래까지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동물 100만종의 유전자와 생체조직을 보존할 계획이야. 이렇게 보존된 유전자와 생체조직은 생명의 진화에 대한 소중한 정보가 될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메기에게 동영상 메일을 보낸다. 한국의 역사에 관심이 많은 메기에게 오늘은 국립중앙
박물관
에 가서 직접 찍은 동영상을 보내 주기로 했다.초고속을 자랑하는‘와이브로’덕분에 한 시간 분량, 1기가바이트 용량의 자료를 순식간에 보냈다. *와이브로(Wibro) : 초고속무선휴대인터넷. 현재의 ... ...
세계 각 국의 로봇과 만나 꿈을 키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한 로봇 친구들이죠. 이번 노는 토요일에는 아빠 엄마의 손을 잡고 대학로에 있는 로봇
박물관
에 가 보면 어떨까요. 3500여 개의 로봇 장난감들이 여러분의 발길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세계 40개국의 초창기 로봇 장난감이나 로봇의 역사를 보여 주는 대형 벽 장식물을 보다 보면 어느새 로봇 박사가 ... ...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이번 방학에는 과학과 함께 놀 곳이 너무나 많아요. 과학캠프와 우주캠프도 열리고
박물관
과 과학관에서는 진귀한 전시회도 열리죠. 즐거운 과학여행에 한 번 빠져 볼까요? ‘오늘은 화성에 도착한 지 사흘째 되는 날.우주복 헬멧을 잠시 벗고 100 미터 떨어져 있는 친구에게 고함을 쳤지만 친구는 ... ...
갈기없는 수사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갈기없는 사자’가 보고되면서 과학자를 곤혹스럽게 했다.그러나 미국 필드
박물관
의 동물학자 토마스 그노스케 박사팀이 ‘사이언스’ 9월 29일자에 그 해답을 제시했다. 10년간 야생동물원의 사자를 관찰해 온 그노스케 박사는 더운 지역보다 추운 지역에서 데려온 사자의 갈기가 더 많이 자라는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