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유지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2008년 그는 우리은하를 위에서
바
라볼 수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지 정확히 그려내기 위해 노력한 적이 있다. 당시 관련 워크숍에서 우리은하 구조에 관한 특별 세션을 맡고 있던 로버트 벤저민 박사와 함께 최신 자료를 모두 모아 ‘우리은하를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냈으며 3월 14일에는 학생들과 함께 ‘녹색지구봉사대’를 발족시켰다.내년부터
바
나콘 섬에 100ha씩 5년간, 또는 50ha씩 10년간 총 500ha의 맹그로브 숲을 조성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해외 맹그로브 숲 조성사업 중 최대 규모다. 매년 최소 1만500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물론 길이로 치면 더 긴 곤충도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에서 발견된 포
바
에티쿠스 차니(Phobaeticus chani)라는 대벌레는 다리를 뺀 몸길이가 35cm로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입니다. 마지막으로 날아다니는 곤충 중에서 큰 친구들을 소개하겠습니다. 남아메리카에 사는 티사니아 아그리피나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는 겁니다. 상대방을 객관적으로
바
라보는 정도가 심할수록 자기 역시 객관적으로
바
라본다는 뜻이지요. 이런 경향은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여자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나쁜 놈이 되는 것만은 피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소년이었습니다.그렇다고 해서 좋은 건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살 가능성은 희박하다.플랑크는 지금까지 언급한 우주망원경과 다른 파장을 관측한다.
바
로 마이크로파다.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우주가 4000℃ 정도로 식으면서 나온 빛이 오늘날 마이크로파로 변한 게 우주배경복사다. 이 빛의 분포를 관측하면 별도 태어나지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쭉쭉 늘어나는 쫄깃한 치즈가 없는 피자를 상상할 수 있을까. 어림없는 소리다. 치즈는 피자의 생명과 같은 존재로 피자 광고에는 항상 먹 ... 맛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대체식품을 무조건 배척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바
탕으로 스스로 판단해 소비하는 게 현명한 일이 아닐까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큼 부과하는 세금이다. EU의 결정에 대해 미국, 러시아, 중국 등 29개국은 2월 22일 모스크
바
에 모여 EU의 탄소세 부과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탄소세 납부거부를 포함해 항공협정 개정 등 보복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이에 EU는 “보복에 즉각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영어에는 영어점자가, 한글에는 한글점자가 따로 있다. 점자는 보통 그 나라의 문자를
바
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영어점자로 쓴 ‘애플(apple)’과 한글점자로 쓴 ‘사과’는 같은 뜻이지만, 그 모양은 완전히 다르다.그렇다면 한글점자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최초의 한글점자는 189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운명의 상대를 찾으라고 충고한 친구 역시 장기 연애를 못하고 수시로 남자친구를
바
꾸는 걸로 유명했습니다. 소년은 갑자기 또 불안해졌습니다.운명과 로맨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또다시 잠을 못 이루고 운명에 관해 인터넷을 뒤지던 소년의 눈에 1998년 ‘성격과 사회심리’ 저널에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다시 분류하고 있다. 사람이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정보이론을
바
탕으로 판단한다.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수학과 체스는 입력신호의 조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쉬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를 통해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