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감지되면 바로 그 실체와 농도, 확산정도를 분석해 종합상황실로 알려준다. 한
마디
로 문제가 생길 때 최대한 빨리 사람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는 하천인 셈이다.“스마트 리버 개념은 IT가 발달해 있고 강이 그리 크지 않은 우리나라가 실천에 옮기기에 딱 맞습니다. ... ...
핵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한 국제 공동 연구를 기획 및 총괄하거나 정책적인 연구를 맡게 된다. 취재 한
마디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이다. 원자력 실험수업을 수강하며 배운 내용과 결부해 핵재료공학의 역할과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한다. real이란 단어는 라틴어에서 ‘실제’라는 의미를 갖는 realis(레알리스)에서 왔다. 한
마디
로 실수는 실제로 존재하는 수이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면 허수는 영어로 어떻게 부를까? 바로 imaginary number라고 한다. imaginary는 라틴어의 imaginare(이마지나레)에서 왔는데, 14세기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하거나 과장하는 버릇은 아나운서에게 치명적인 결점이죠. 방송에서는 한
마디
한
마디
가 모두 기록으로 남기 때문이에요. 방송은 철저히 솔직하고 겸손하게 임해야 하죠. 또 한없이 착하기보다는 옳다고 생각한 것은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어야 하고요.”한 아나운서는 작년까지 형편이 어려운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고안했다. 연구팀은 이 자극기로 실험참가자들의 손가락 끝에서 시작해 첫 번째
마디
까지 아래 방향으로 자극을 반복해서 줬다. 그런 다음 특정한 방향성 없이 손가락에 자극을 줬다. 그랬더니 실험참가자들은 자극이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보고했다.이런 촉각 일루전은 자극기 없이도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우주가 수로 구성돼 있다는 이색적인 주장을 하게 된다. 한
마디
로 아름답거나 조화로운 것들 속에는 수의 질서가 존재하고 있다는 뜻이다.피타고라스의 업적은 너무 많아서, 과연 혼자서 다 해낸 것인지 아니면 학파에서 한 일들이 개인의 치적으로 포장된 것인지 분명치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나를 무시하거나 하는 거 아니지?”“하하, 그럼요. 우리 선생님이 최고죠!”도형의 말 한
마디
에 감동한 허풍. 이제는 허풍을 다루는 방법까지 터득한 도형이었다.그 때, 멀리서 야구복을 입은 남자가 손을 흔들며 일행을 향해 걸어온다.“오랜만이야, 말론. 그리고 축하하네. 다승, 탈삼진 1위까지.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임미성 어머니는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들의 어머니에게 한
마디
하고 싶다고 했다.“수학공부는 아이 스스로 하는 것입니다. 엄마는 아이가 수학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매니저의 역할을 해 주면 됩니다. 항상 아이의 눈높이에서 생각하고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 앞에서도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뽑아내고 그 자리에 사탕수수 대를 두세
마디
길이로 잘라 옆으로 뉘여 심으면
마디
에 있는 눈에서 싹이 터 새로 식물이 자란다고 한다. 결국 사탕수수는 7~8년마다 한 번 심고 매년 수확하는 작물인 셈이다. 공기조차 단내 나는 도시농장을 뒤로하고 여전히 사탕수수밭이 늘어서 있는 길을 20분쯤 ... ...
세포 및 미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친자 확인과 같은 사회적인 인권분야에서도 다루고 있어 이용 범위가 넓다. 취재 한
마디
우리의 생활 전반이 바이오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새삼 느꼈다. 생물의 작은 기본단위에서 많은 유용함을 창출하는 미생물공학이야말로 현대의 오병이어(五餠二漁)가 아닌가 싶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