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Q. 학부 마지막 학기 때, 서울대에 석좌교수로 초빙된 일본의 세계적인 수학자이자 1970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의 수업을 들으면서 수학자가 되기 ... 단번에 알아차린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포민 교수가 입학 서류를 담당했던
게
맞더라고요(웃음)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멘트도 있지 않았답니다. 온라인 클래스가 끝난 뒤, 배낭을 메고 가시는 교수님에
게
“감사합니다!”라고 외쳤어요. 그러자 교수님은 손을 위로 한 번 척 들어주시고는 떠났답니다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번 IMU 시상식엔 수상자 8명 중 4명의 필즈상 수상자와 IMU 아바쿠스상, 릴라바티상 수상자 총 6명의 수학자가 시상식에 참석했습니다. 그런데 가 시상식 전 날 ... 일찍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인터뷰는 말해 뭐하
게
요~. 오랜 시간 모든 질문에 당차
게
답변을 해 줬답니다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두 소수의 차이가 2인 쌍둥이 소수가 무수히 많을까?’라는 문제가 있어요.여러분들도 쉽
게
이해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아직까지도 참인지 밝혀지지 않았어요. 제임스 메이나드교수님은연속한 두 소수의 차가 600 이하인 소수 쌍은 무수히 많음을 혼자 증명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폴리매스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외계공작소의 일원으로 함께 하고 싶다면 얼마든지 편하
게
연락해달라”며 “이야기를 나눌 준비가 돼있다”고 했다. 외계공작소의 공식 메일은 alienlab5050@naver.com다. ... ...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전기·전자공학과나 컴퓨터공학과보다는 진로가 좁을 것만 같다. ‘좁지만 깊
게
파는
게
과연 유리할까. 반도체가 30년 뒤에도 계속 유망할까.’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고민에 빠졌다. 그 고민에 대한 답을 과학동아가 찾아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part1.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분야는 급변한다. 다른 어떤 산업·연구 분야보다도 빠르
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시스템반도체 설계기술은 기술순환주기가 8.18년으로 짧다. 2016년에 발표된 ‘기술순환주기 기반의 기술경영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IT분야의 기술순환주기(TCT)는 8. ... ...
[특집] 버블 465일 동안 생존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운 좋
게
‘에버래스팅 버블’을 만들 수 있었답니다. 이것이 구형만이 아니라 다양하
게
응용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피라미드 모양으로도 만들었어요. Q과학자들이 비눗방울 연구에 왜 관심을 가질까요? 가스마블과 비눗방울은 물질의 변형과 움직임을 연구하는 ‘유변학’ 등을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이름은 페르세우스! 명을 받아 공주님을 구하러 왔습니다.”“앗! 그런데 여기는 어떻
게
아시고….”“GPS 위성으로 위치 추적까지 싹 다 끝냈죠”그때 마침 나타난 바다 괴물! 페르세우스는 바다 괴물을 처치했습니다.“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전화기 덕분이에요.”안드로메다는 눈물을 흘리며 ... ...
[인터뷰] 이상한 수학의 매력에 퐁당~!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주변 곳곳에 있다는 사실을 꼭 알았으면 좋겠어요. 저희가 여러분 나이 때 수학이 이렇
게
가까이 있고 재밌는지 알았다면 수학을 매우 좋아했을 것 같거든요. 빨리 수학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용어정리리만 가설: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1859년 발표한 수학 문제로 ‘소수’의 배열에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