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입자물리학과 정보물리학까지 물리학의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의 반사
각도
를 설명하면서 방향성을 고려한 물리량인 벡터를 자연스럽게 소개한다. 참신한 비유와 설명을 만날 수 있다.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음 | 고중숙 옮김 | 김영사 | 304쪽 | 1만 6000원 이 ... ...
팔은 발보다 빠르다! 휠체어 육상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가속된 뒤 안정적으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작은 핸드림을 사용한다.뒷바퀴의
각도
(캠버)가 낮을수록 휠체어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뒤집어 질 위험 없이 경기할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빠르게 달리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다. 휠체어의 길이도 경기에 영향을 준다. 휠체어가 길면 길수록 가속이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창을 던져요. 몸을 회전시키는 동작 없이 직선으로 던지기 때문에 부채꼴 구역의
각도
는 29°에 불과하죠. 빠르게 달리는 실력이 중요한 만큼 창던지기 선수는 다른 던지기 종목의 선수보다 날씬하답니다. 창의 길이는 2.2m 정도지만 무게는 800g에 불과해요. 가벼운 창이 공기저항을 이기려면 창에 ... ...
'정육면체'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떠오르는 각의 크기와는 달리, 예를 들어 30°의 크기를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각도
마찬가지다.또한 색종이가 가진 장점을 살려 평면 채우기와 같은 작품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번에는 평면 채우기에 대해 알아보자.평면 채우기란 틈새가 벌어진 곳이나 포개진 곳 없이 일정한 도형으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한다. 35mm 필름카메라의 경우 표준렌즈의 초점거리는 50mm이며 사진에 담을 수 있는
각도
인 화각은 약 47°다.내 똑딱이는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필름 카메라나 전문가용 카메라보다 빛을 받아들이는 센서의 크기가 작다. 센서는 필름에 해당하는데, 내 똑딱이의 센서는 대각선 길이가 7.7mm다. 필름의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뜨거운 지표열을 막고 바람의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도시의 거리는 해가 지고 뜨는
각도
와 정확히 직각으로 배치됐다. 그림자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해서다. 그림자는 도심에 그늘을 만들어 온도를 낮춰 준다.건물 지붕마다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은 지붕을 시원하게 유지하면서 에너지도 생산한다.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런데 비눗방울은 왜 120°와 109.5°로 만날까? 비눗방울이 만날 때 표면적이 최소가 되는
각도
이기 때문이다. 120°와 109.5°로 이뤄진 구조는 벌집, 현무암 기둥, 잠자리 날개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최단 경로 구하는 슈타이너 점문제 : 한 직선에 있지 않은 세 점 A, B, C가 있다. 점 중에서 이 세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는데, 이 장치는 오늘날 여객기 꼬리 부분에 수평으로 있는 작은 날개로 발전했다.
각도
를 바꿔가며 비행기를 상승 하강시킨다.플라이어 1903이 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시속 60∼70km에 불과하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보다 느린 셈이다. 날개 면적이 넓고 엔진 출력이 낮기 때문이다. 당시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직 단정짓기는 이르다. 이번 파트에서는 환경 요인 등기존에 알려진 요소 외에 새로운
각도
에서 꿀벌이 사라진 원인을 살펴본다. 키워드 1 초개체벌은 ‘초개체(Superorganism)’다. 한 마리 한 마리가 벌이라는 곤충 개체를 이루기도 하지만 한 데 모여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빛은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된다. 비눗방울 막을 뚫고 들어간 빛은 파장에 따라 꺾이는
각도
가 다르고, 또 막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일부가 반사된다. 이렇게 비눗방울은 막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서 빛을 반사시킨다. 이때 우리 눈은 합성된 빛을 보게 된다. 즉 막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