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작용을 한다는 정황 증거가 여러 차례 포착 됐음에도 과학자들이 좀처럼 ‘EDRF=NO’라는
가설
을 떠올리지 못한 이유다.EDRF의 실체를 밝히는 데 애를 먹은 또 다른 이유는 EDRF가 생성된 지 수초 만에 사라질 정도로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몬타나 박사팀은 이런 불안정성 역시 EDRF가 일산화질소임을 ... ...
세상에서 가장 어린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학자의 도움을 받으며 연구를 했답니다. 과학자의 도움을 받았다고는 하지만연구의
가설
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등 모든 연구 과정을 어린이들 스스로 해냈어요. 게다가 연구 결과를 정리한 논문까지 어린이들의 힘으로 썼답니다.‘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과학자처럼 ... ...
'수학 밖에서 수학 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마지막 정리’, 미국 PBS의 ‘수학에 의존한 삶(Life by the Numbers)’, 일본 NHK의 ‘리만
가설
’ 등 각국의 수학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며 수학 대중화의 효율적 수단으로서 수학다큐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형주 교수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수학 다큐 ‘생명의 디자인’을 찍기도 한 그는 2011년 ‘문명과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초고체 현상은 아직까지 이론으로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가설
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는 실험을 계속해 나가야지요.”김 교수의 말에 챈 교수는 스승답게 멋진 멘트를 날렸다.“몇몇 사람들은 초고체가 (이론의 관점에서) ‘지저분하다(messy)’고 말하지만 저는 오히려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1860년 독일에서 발견된 시조새 화석 표본에서 시작됐다. 이후 150년이 지난 최근까지 이
가설
을 뒷받침하는 깃털 공룡과 백악기의 조류 화석 연구가 이어져 왔다. 2009년 네이처에 소개된 날개가 넷 달린 공룡 화석도 이 흐름에 힘을 보탰다. 중국 동북구 랴오닝성에서 발견한 ‘안치오르니스 헉슬리’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끝까지 말하자. 오성환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교육연구사) 질문을 하고
가설
을 세워 실험을 하고, 다른 사람에게 결론을 말해 주는 것은 과학자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어. 전기도 아끼고 냉방병도 사라졌다는 엄마 아빠의 칭찬에 기분은 더욱 우쭐~! 주변에 호기심을 가지고 즐겁게 실험해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따라서 몇 세대 지나지 않아 동성애 유전자는 솎아져야 한다.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가설
가운데 하나는 게이의 형제 역시 동성애까지는 아니지만 여성적 취향이 있어 오히려 여자들이 더 좋아한다는 것. 실제로 게이의 형제는 평균 남성보다 자녀 수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르베이 박사는 그 뒤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권, 수권, 암석권, 생물권 사이의 복잡한 연결과 순환 과정에 대한 연구 덕분에 가이아
가설
의 일부는 지구시스템공학이라는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아직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 이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이아 이론에서 가이아(지구)는 지구의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해할 수 없다는 점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이와 비슷하게 우주에서 사는 생명에 대한
가설
도 있다. 광대한 영역에 퍼져 있는 우주 먼지가 초전도 상태에서 전자기 신호로 연결돼 의식이 있는 지성체로 진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정상우주론을 주장해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 프레드 호일 경은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 만들어지는 전령RNA(mRNA)의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DNA 단일가닥을 탐침으로 써서 위의
가설
을 검증했다. 예를 들어 미뢰의 한 세포에 T2R1 유전자가 발현해 mRNA가 존재한다면 여기에 상보적인 DNA 가닥이 달라붙어 신호를 낸다. 이런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미뢰 세포의 15% 정도에서 쓴맛 수용체가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