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2,461건 검색되었습니다.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09
뜨거운
유리
를 매우 가늘게 당겨서 만든다. 그런데 대기 중에서 이 작업을 하면 뜨거워진
유리
가 좀처럼 식지 않아 녹은 상태에서 서로 붙어버리고 만다. 여기에서 활약하는 것이 바로 헬륨이다. 헬륨은 다른 기체에 비해서 열교환율이 좋다. 그래서 뜨거운 물체에 헬륨 기체를 흐르게 하면 아주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09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이 반도체는 파장이 1.3~1.55m인 레이저를 발산한다. 레이저는
유리
로 된 광섬유를 절대 빠져나가지 않고 양 벽에 부딪혀 광섬유를 통과한다. 전기 통신과 달리 외부 전자파의 방해를 받지 않고,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는 비결이다.반도체마다 고유한 파장을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09
작업을 할 때
유리
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인간형 로봇은 전투만 따진다면 그다지
유리
하지 않지만 인간 병사가 하는 힘든 작업을 대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도 ‘인간처럼 움직일 수 있다면’이라는 단서가 붙으며 그 날이 언제 올지는 아직 알 수 없다.취재를 위해 만난 전문가들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09
5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하철 1호선의 중간쯤에서 내리면 이 도시에서 가장 커다란
유리
피라미드를 볼 수 있다. 루브르미술관 정문이다. 원래 궁전이던 건물을 미술관으로 만든 이곳에는 프랑수와 1세와 루이 13세, 루이 14세 같은 역대 국왕들이 소장했던 엄청난 미술품이 보관돼 있다. 소장하고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09
LED의 재료인 갈륨나이트라이드나 징코사이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 LED를 연구하는 데도
유리
하다. 정 연구원은 “고등광기술연구소에 성능 좋은 레이저 장비가 잘 구축돼 있어 정교함이 필요한 나노광학 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탐침 끝의 구멍 지름이 작고 측정시료와 탐침 사이의 ... ...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9
자료를 검토한다. 가급적이면 한눈에 보기 쉽고 깔끔하게 정리해서 제출하는 게
유리
하다. 각 대학 홈페이지에는 포트폴리오의 잘된 사례와 잘못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으니 참고하자.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3학년까지 부족한 내신을 최대한 끌어올린다. 2. 이공계 중점대학들에 어떤 교육 과정이 ... ...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동아
l
201008
교수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제시 더글라스 교수에게 돌아갔지. 알포르스는
유리
함수와 과거로 시간여행이 가능한 곡면인 리만면 연구로, 더글라스는 주어진 테두리 안에 최소 넓이를 가지는 곡면이 어떤 모양으로 존재하는지를 연구해 상을 받았지.1954년에는 장피에르 세르가 26세에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08
보여 아직 디스플레이가 깨끗하게 구현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머지않아
유리
창 너머로 보이는 도로 위에 화살표가 그려져 길을 안내하는 ‘증강현실 네비게이션’이 펼쳐지고 보행자가 뛰어들면 ‘주의’ 표시가 생기는 것도 가능해질 것이다.노인시설의 안내 표시노인들의 시선은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08
뇌 안에 기생충이 살고 있다. 뇌 기생충은 숙주의 뇌 네트워크를 조종해 기생충에게
유리
하게 사고하거나 행동하게끔 유도한다. 실제로 가능한 일일까.사람의 뇌 안에서 살 수 있는 기생충은 예를 들면 돼지고기에서 전염되는 낭미충(유구조충의 유충)이 있다. 낭미충에 감염된 돼지고기를 덜 익혀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08
다음 중 생길 수 없는 그림자는 무엇인가?’ 같은 식이다. 중학교 2~3학년이라면 ‘
유리
속에 구 모양의 공기방울이 있다. 공기방울 쪽으로 입사한 광선이 진행하는방향으로 옳은 것은?’ 같은 문제가 나올 수 있다. 매질의 특성과 빛의 굴절 원리만 안다면 풀 수 있다.물리학회가 이 제도를 도입한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