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01
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
물리학
(AIM)’위성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01
핵물질인만큼 재료가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설계조차 불가능하다. 원자력 분야가 과거에
물리학
위주로 설계를 이끌고 가던 체계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입자 물리, 원자로 물리, 핵융합 물리, 원자력 안전공학까지 두루 섭렵한 핵재료공학의 사령탑 역할이 필요해진 이유다.‘원자력 연금술’ 실현할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12
최초로 확인된 순간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
물리학
자인 제임스 앨프리드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 벨트’로 명명됐다. 밴 앨런 벨트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풍의 입자들이 고밀도로 응축돼 있는 영역을 말한다. 맨눈으로 보기만 해도 시력에 ... ...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12
번역해서 해외에도 출간하면 어떻겠느냐”는 조언을 했다.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물리학
의 정신과 철학을 토대로 서술된 책은 거의 없는 탓이다.최 교수는 “이는 현대인이 과학을 물질적 풍요를 얻기 위한 지식으로만 받아들이기 때문”이라며 “과학은 인류에게 정신적 풍요를 가져다주는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12
조사한 결과 나선은하끼리, 타원은하끼리 쌍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내 지난해 미국 천체
물리학
저널(ApJ)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계 최대 규모의 천문 관측 프로젝트인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자료를 이용했다.서로 붙어 있는 은하 쌍은 은하 외곽(헤일로)이 서로 닿아 있어 직접적인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방수성과 열전달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물리학
분야 학술지‘피지컬 리뷰 레터스’ 10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11
대응되는 수백만 개의 작은 CCD(광다이오드)가 나열돼 있다.CCD는 1969년 미국 벨연구소의
물리학
자 보일 박사와 스미스 박사가 처음 개발했다. 재밌는 것은 그들이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땐 성능이 뛰어난 메모리칩을 만들 목적이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두 박사는 우연히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11
거주)‘손가락 관절을 눌러 소리를 내는 습관이 관절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를 규명’
물리학
: 캐서린 위트콤, 다니엘 리버만(미국 하버드대), 리자 사피로(미국 시카고대) ‘임신부가 넘어지지 않는 이유 규명’ 문 학 : 아일랜드 경찰청 ‘가장 자주 교통법규를 위반한 사람에게 50장이 넘는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1
발간했다. 그는 소립자
물리학
의세계적인 권위자로 죽음을 눈앞에 둔 시간 속에서 현대
물리학
의 핵심주제에 대해 간결하게 썼다. 차세대 과학도들에게 꺼지지 않는 혼과 열정이 담긴 아름다운 유산이 될 것이다.지구를 생각한다한국과학창의재단 기획 | 해나무 | 386쪽 | 1만 3800원지구온난화와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11
있는 조레스 알페로프 교수는 2000년 노벨
물리학
상을 수상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물리학
자입니다. 수학 박사 학위를 가진 그는 CD나 핸드폰 등의 현대 정보통신기술에 다양하게 쓰이는 반도체 레이저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습니다.199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존 포플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