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과학동아 l199708
- 독수리자리는 백조자리와 마주보며 은하수 위를 난다. 독수리자리를 찾기는 매우 쉽다. 남쪽 지평선 위로 6월에 소개했던 사수(궁수)자리, 7월에 소개했던 방패자리를 따라 올라가면 십자기 모양의 별자리를 만나는데 이것이 독수리자리다.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견우별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과학동아 l199707
- 5도×5도) 안에 들어오는 별들을 모두 세어 33만1천개가 있다고 발표했다.M26은 M11로부터 남쪽으로 약 4도쯤 떨어져 있으며, 희미하게 빛나는 얼룩처럼 보인다. 1750년경에 르 장티에 의해 발견됐다. 거리는 M11보다 조금 가까운 4천9백광년. 성단 중앙에 4개의 밝은 별이 연 모양을 이루고 있고, 남북으로 ... ...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과학동아 l199706
- 영역이다.M24는 맨눈으로도 보이는 별구름으로 오메가성운으로부터 2도 정도 떨어져 있는 남쪽 은하수의 밝은 지역이다. 이 큰 별구름의 겉보기 쿠기는 2도×1도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별구름 속에는 산개성단 NGC6603, 코구멍같이 생긴 암흑성운 B93과 B92가 있다 ... ...
- 사마르칸트와 부하라과학동아 l199706
- 때까지 35년간을 끊임없는 원정으로 일관했는데, 동쪽으로는 중국, 서쪽은 소아시아, 남쪽은 인도 북부, 북쪽은 남러시아 초원지대까지 이르는 대 티무르 제국을 건설했다.티무르의 시대는 중앙아시아인이 세계를 제패한 최고의 전성기였다. 그가 죽은지 6백년이 지난 지금 “칭기스칸은 파괴했지만 ... ...
- 다윈을 추종한 화석사냥꾼들과학동아 l199706
- 아이는 후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라는 학명을 갖게 됐다. 이는 '아프리카 남쪽유인원'이란 뜻으로 2백만년 전-3백만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다트는 아프리카누스를 발견한 후 이런 말을 했다. "인간의 조상이 원숭이와 다른점은 무지비한 살륙자라는 점이다. 이들은 살아 있는 ... ...
- 오리온자리과학동아 l199704
- 월 저녁무렵 북쪽 하늘에는 헤일-밥 혜성이 화려한 자태를 드러낸다. 이때 남쪽 하늘에서는 긴 칼을 치켜들고서 오리온자리가 떠 있다. 방패연처럼 생긴 오리온자리를 찾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겨울철 별자리인 오리온자리는 봄이 되면 초저녁에 남중했다가 한밤중에 서쪽하늘로 진다. 오리온 ... ...
-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과학동아 l199704
- 없었다. 그런데 이 대륙이 둘로 갈라졌으며, 그 중 하나인 곤도와나(Gondowana)대륙은 남쪽으로 이동했다. 현재의 남극대륙, 아프리카대륙, 남미대륙, 인도와 호주는 곤도와나대륙이 나뉘어 형성된 것이다.남극대륙은 중생대까지 생물이 살기 좋았던 환경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사실은 ... ...
- 일본 규슈 화산지형 탐사과학동아 l199703
- 칼데라 지형으로 화산이 폭발 후 바다물이 들어와 만을 형성하고 있다. 사쿠라지마 남쪽의 용암공원에서는 비행기가 지나가는 것 같은 ‘우우웅’ 소리를 간헐적으로 들을 수 있었다. 화산이 살아 움직이는 소리다. 아오시마미야자키에서 아오시마로 가는 길은 1백20km의 리아스식 해안으로 ... ...
- 히틀러 벙커과학동아 l199702
- 이란 남위 54도에서 62도 사이를 오르내리는 폭 60km 정도의 선을 말한다 남극수렴선은 남쪽의 찬물과 그 북쪽의 덜 찬물이 만나 만들어지는 일종의 경계선으로 그 선을 경계로 해양환경과 해양생물, 날씨가 크게 달라진다몸길이가 6cm 정도인 새우 종류다 남극 주위 바다에 많기 때문에 남극새우라고도 ... ...
- 잉카의 후예 께로족과학동아 l199701
- 페루의 남쪽 안데스 산맥 한가운데 있는 왈까왈까 마을 근처에는 사방카야 산과 암파토 산이 마주보고 서 있다. 지난 93년 사방카야 봉우리가 화산으로 인해 격렬한 분출을 시작하면서 뜨거운 화산재가 주변을 뒤덮었다. 근처에 있던 암파토 산은 화산 분출시 발생한 열로 5백년 동안 덮여 있던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