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eometry
기하
위상기하학
위상
유클리드기하학
유클리드
유크리드
d라이브러리
"
기하학
"(으)로 총 72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06
했다.이 분야도 서양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서양의 전통천문학이 우주구조에 대한
기하학
적 모델을 세우고 그에 바탕한 설명과 계산을 수행한데 반해 중국의 역법은 여러 천문현상의 반복에서 경험적으로 관측된 주기(周期)들을 사용한 계산법에 의존했다.전통중국에서는 예악(禮樂)이라고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05
바로 상대론의 핵이라고 할 수 있는 중력장 방정식으로(시공간을 휜 정도를 나타내는
기하학
적 수식)=(시공간을 휘게 만드는 중력을 대표하는 수식 (1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 방정식이 주어진 중력 조건에 따라 풀릴 수 있을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시공간의 계량에 해당하는 δ값들을 알 수 있게 ... ...
나의「로미오」-수학
과학동아
l
198905
듣기도 한다. 참으로 길었던 2년을 보내고 오지않을 줄 알았던 3학년이 되어 정식으로
기하학
에 입문했다. 아직도 몇개의 난관은 가로 놓여있지만 내 로미오는 날 사랑하니까 안전하게 통과시켜 줄거다.난 '계획표의 여왕'이란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붙여준 별명답게, 요즘도 책상앞에 세개쯤의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
과학동아
l
198904
또 이에 반해 3차원공간 (x,y,z)내의 점은 위치라고 부른다.왜 시간은 1차원인가?아다시피
기하학
은 공간의 성질을 구명하는 학문이다. 2차원 3차원 4차원 또는 n차원으로 차원의 차이가 있을망정 공간은 어디까지나 공간이다. 그런데 우리는 현실의 세계에 직면하였을 때 새로 시간이라는 요소를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04
가지의 시론'을 발표했는데, 3시론중의 하나가
기하학
이다. 이 시론에 의해 오늘날의 해석
기하학
이 탄생되었고 동시에 차원을 확정해주는 좌표축 및 직각좌표의 개념이 도입되었다.즉 직선상에서의 점의 위치는, 원점(기준점, 보통의 경우 0)을 고정시킬 때 그 원점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하여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04
대상으로 삼고 있다.삼각형의 두변의 합=다른 합변이미 독자 여러분은 중학교 시절의
기하학
수업에서 이상한 체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중학교시절에 배운 '중점연결의 정리'를 다시 상기해 보자.먼저 (그림1)ⓐ의 삼각형ABC를 보라. 각 변의 중점은 각각 M N O로 하면 $\overline{MO}$//$\overline{AC}$(//는 ... ...
진동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03
것이다.“어째서 물방울이 진동 속에서 정다각형 모양이 되는가?”“보내는 진동과 이런
기하학
적 형태 사이에는 대체 어떤 상호관계가 있는 것인가?”그런 의문은 최후에는 이 우주의 모양을 만들어낸 여러가지 모양괴 진동(음)의 수수께끼로 가득찬 관계로 향하게 될것이 틀림없다.그런 의문은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02
북쪽으로 이동했다가 1699년의 강화조약 이후 초원으로 돌아왔다. 지금 볼 수 있는
기하학
적 촌락은 그때 돌아온 농민들이 이룬 것이다.이 밖에도 파괴된 시청사와 성채를 비롯한 석조건축의 잔해 등 18세기초 오스트리아군 탄압의 흔적도 전국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이것도 이나라 역사 속의 ... ...
상대성이론의 모든것
과학동아
l
198812
우주'를 나타내며 표면에 그린 3각형의 내각의 합은 1백80˚보다 크다.우주의 최후는 그
기하학
적인 모양과 관련이 있다. 공간이 공모양이라면 우주는 팽창하는 일을 언젠가는 멈추고 수축하기 시작할 것이다. 평평한 공간이라면 겨우 팽창하지만 영원히 팽창을 계속할 것이다. 만일 쌍곡선 모양의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
과학동아
l
198810
수치였다.아리스토텔레스 이후 '포시도니우스'(Posidonius)와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는
기하학
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지구의 크기를 상당히 정확히 측정하였다. 포시도니우스는 동일한 위도상에 위치한 로데스(Rhodes)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카노푸스(Canopus)라는 별을 관측하는 방법을 택했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