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년 혹은 수십년간에 걸쳐 해왔으므로, 대학원생의 실험에 대한 지도와 상담을 해준다.
박사
과정을 마친후 나는 일본의 대기업인 히타치사(社) 중앙연구소에 입사했다. 사실 일본유학을 준비할 때부터 기회가 닿는다면 기업연구소에 입사해 경험을 쌓고 싶다는 생각은 갖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상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을 편다.한
박사
는 이어서 "영재는 그냥 두어도 잘 자란다는 잘못된 통념이 있어요. 단순히 학교성적만을 놓고 말한다면 그럴 듯하게 들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학영재의 창의적 잠재력을 최대로 개발해준다는 영재교육의 ... ...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창립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담당할 수 없는 광범위한 영역을 아마추어들이 담당한다.초대회장으로 뽑힌 박석재
박사
는 "1차적인 목표를 전국 초중고등학교 과학담당 교사와 협조체제를 구축하는데 두고 천문관측에 관심있는 청소년들을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체제를 만들겠다"며 "이를 위해서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른 대학생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는 '중력렌즈'로 불린다.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아인슈타인
박사
가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해 냈던 지난 1916년에 있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빛은 유리를 통과할때 비스듬히 꺾이는 것처럼 질량이 큰 물체의 근처를 지날 때에도 굴절되어야 한다.두 굴절의 차이란, 빛은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환경이나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충분히 검토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김
박사
는 덧붙인다. 한편 다국적군은 이라크의 신경가스공장을 폭격해 '위험할' 정도는 아니지만 가스누출이 있었다고 전황을 밝힌 바 있다.다국적군이 이라크의 1천 ㎾급 미만의 연구용 원자로2기(基)를 파괴한 이유는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사흘간 관찰했던 규슈의 지질구조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렸다. 지도교수인 정창희
박사
의 지질학 강의도 곁들여졌다. 올해 71세의 노학자는 솔선수범하면서 탐사를 주도했고, 다방면에 걸친 해박한 지식으로 -그것도 유머감각을 가지고- 교사들의 질문에 대답해 주었다.후쿠오카에 도착한 뒤 시내를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여러 조각으로 잘려있는 장면에도 그들은 무심한 눈초리를 던질 뿐이었다.다마지오
박사
에 따르면 이 다섯환자는 내부의 잠재의식에 이르는 길을 잃었기 때문에, 슬픔이나 고통을 무의식상태에서 감지해 두뇌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한다. 토론을 할 때는 말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인 신호를 ... ...
20세기안에 고온초전도 상품 나올듯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임계온도 95K의 YBaCuO를 발견한 이래로 88년 1월에는 일본 금속재료연구소의 마에다
박사
에 의해 비스무트(Bi)계(Tc 1백8K), 3월에는 미국 아칸소대학의 허만 교수에 의해서 탈륨(Tl)계 (Tc 1백25K)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당시의 분위기는 이런 속도로 임계온도가 향상된다면 멀지않아 2백K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동물은 몸을 움직이지도 않을 뿐더러 심장도 작동치 않고 혈액순환도 정지한다. 케네스
박사
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경활동도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고 한다. 얼음결정이 피하나 근육 사이에도 스며들어가 있으며 세포까지도 얼려 놓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동물은 '기관의 동결보존 방식'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박사
과정(동국대 생물학과)에서 거미를 연구하고 있는 예비 학자다. 거미학자인 김주필
박사
(대영 EMI학원장, 서울대 강사)가 소장이며 재야 거미학자인 남궁준씨가 전문위원으로 있는 거미연구소(84년 9월 설립)에서 일하며 거미연구의 대를 잇고 있다. 학부때는 생화학을 전공했지만 거미 연구소에서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