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녕? 난 바다의 포식자, 청상아리야. 오랜만에 넓은 바다로 먹이사냥을 나왔지. 후후! 저 앞에 있는 물고기를 꿀꺽 삼켜 볼까~? 아얏! 내 이빨을 깨고 나오다니! 번쩍이는 눈에 매끄러운 몸, 자세히 보니 넌 물고기가 아니잖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런 방법을 활용한다면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사실 저도 어렸을 때 를 보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어요. 멀리서도 늘 친구들을 응원할게요. 파이팅!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붉은 불개미는 먹이를 찾거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이런 행동을 하지요. 그동안 과학자들에게 이 탑은 미스터리였어요. 아래에 있는 붉은 불개미는 수십만 마리의 개미들 밑에 깔려 있으면서도 상처를 입거나 죽지 않거든요.그런데 최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붉은 불개미가 탑을 ... ...
- [과학뉴스] 바닷물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다리나 방파제처럼 바다에 세운 콘크리트 구조물은 땅 위의 건축물보다 수명이 짧아요. 염분과 습도, 파도, 밀물과 썰물 때 생기는 조력으로 인해 더 빨리 부식되거든요.그런데 고대 로마시대 건축물은 바닷가에 세워진 지 200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파도를 견뎌내고 있어요. 최근 미국 유타대학교 ... ...
- 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지난 7월 13일 경주의 최고 기온이 39.7℃까지 올랐어요. 7월 기온으로는 75년 만에 최고 기온이었죠. 이날 경주 외에도 경상도 지역에는 40℃를 육박한 곳이 수두룩했어요. 더군다나 이때는 폭염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도 전인 장마철이었답니다. 올해 여름 폭염은 왜 이렇게 심해진 걸까요?▼관련기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조선왕조실록에 ‘무더위’ 또는 ‘혹서’라는 단어로 폭염이 기록됐듯이, 폭염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에요. 하지만 최근 강력해진 폭염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답니다. 지금의 폭염, 얼마큼 달라진 걸까요?※ 폭염 특보보통 30℃ 이상의 불볕더위가 계속되는 현상을 폭염이라고 부르는데, 각 나라마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골반 뼈가 크면 암컷이다?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에 ‘수’라는 이름이 붙은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로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최초로 발견한 연구원 이름이 ‘수 헨드릭슨’이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이유는 이 티라노사우루스가 암컷이라서 여성적인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기계를 조작하다’에서 사용되는 ‘조작(操作)’은 ‘잡다, 다루다’라는 뜻을 가진 ‘잡을 조(操)’와 ‘만들다, 일하다’라는 뜻의 ‘지을 작(作)’이 합쳐진 단어예요. 기계나 사물을 자기가 원하는대로 조종한다는 뜻을 담고 있지요.‘잡을 조(操)’는 ‘손 수(扌=手)’와 ‘울 조(喿)’가 합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몇 초 안에 사람이 죽을 정도의 높은 방사능 수치를 나타내기 시작했어요. 이에 일본 과학자들은 사람을 대신해 원전에 들어갈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후쿠시마 원전 내부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숙제가 하나 더 있어요. 바로 물 속에서도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거예요. 도시바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4km만 돼도 모든 작업을 중단해야 할 만큼 물의 흐름이 공사를 방해한답니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장인성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은 “올해 9~10월까지는 포항에 있는 수조에서 시험을 진행하고, 그 뒤부터 수심 20~100m 정도의 실제 바다에 나가 시험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어요.◀ 내가 잘 살펴볼게! ... ...
이전6997007017027037047057067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