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운영하는 통신포럼을 이용해 백신프로그램을 구하는 것이 좋다.모든 병은 치료보다
예
방이 더 중요하다. 컴퓨터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파일전송을 통해 감염되므로 새로운 파일을 받을 때는 항상 바이러스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위에 언급한 회사들의 백신 프로그램들은 ... ...
20세기) 셜록홈스의 실존 모델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것. 넷째, 경찰보다 뛰어난 관찰력과 추리력을 가진 탐정의 등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예
기치 못한 놀라운 결말이다.탐정은 겉으로 보기에 분명한 듯한 증거가 실제로는 틀리다는 점을 알아차린다. 또 남이 미처 눈치채지 못한 자료를 수집하고, 남이 엄두도 못낼 분석과정을 거쳐 범죄자의 심리를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EAN코드방식을 따르지만 ISBN(국제표준도서번호), ISSN(국제연속간행물번호)으로 나눠진다.
예
를 들어 과학동아 표지에 붙어있는 ISSN 1228-3401이라는 번호는 한국에서 발행되는 잡지인 과학동아라는 정보를 담고 있다. 전세계 어디서라도 이 번호는 관학동아의 고유번호인 것이다.자세히 보면 바코드는 ... ...
2. 사주와 주역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가져오는 역기능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
를 들어 어느 사람이 점술사의 말을 믿고 그 성패가 분명치 않은 미지의 사업을 시작한다고 해 보자. 이 일의 성공에 대한 소신이 어쩌면 일의 성취를 위해 도움이 될 수도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보다 크게 ... ...
인간복제 브레이크 걸 제도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장기의 세포로 발달하도록 배양하는 일은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
를 들어 당뇨병에 걸린 환자를 위해 건강한 췌장세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의미다. 물론 자신의 몸에서 떼어내 복제한 세포이기 때문에 이식에 따른 거부반응은 거의 없다.하지만 반대 여론은 거셌다. 한 ... ...
알코올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술의 양(ml) x 술의 알코올농도(%) 체중(kg) x 0.067(상수)〕- 술마신데 걸린시간 이다(그림4).
예
를 들면 체중 70kg인 사람이 소주 반병을 한시간 동안 마셨다면 3시간 20분 정도가 지나야 운전할 수 있다(180ml(소주 반병의 양) x 25%(소주의 알코올 농도) 70kg(체중)) x 0.067(상수)- 1시간(술마신데 걸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간단한 화학 상식으로 환경도 보호하고, 자원을 아끼며, 생활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예
들이다.유적 갉아먹는 산성비석회석으로 만들어진 건물이나 동상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표면에 심한 얼룩이 생긴다. 심지어 코가 녹아내린 동상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염기성의 석회석이 빗물에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혈액이나 머리카락으로부터 유전자 검색을 통해 범인을 알아내거나 확증하는 것이 그
예
다.하지만 앞으로는 다르다. 이는 미래 사회를 그리는 SF영화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영화 '가타카'의 경우 주인공(사진)의 신분은 매번 지문과 함께 손가락의 혈액으로부터 얻어지는 유전자 검색으로 확인된다.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한편 몸에 질환이 없어도 정신적인 충격 때문에 얼굴색이 하얗게 변하는 일이 흔하다.
예
를 들어 TV에서 종종 방영되는 미스터리물을 볼 때 무서운 장면이 나타나면 갑자기 얼굴이 백지장처럼 변하는 경우가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혈관이 수축됐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사람의 의지와 무관하게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사람도 있다. 구리칩은 물리학의 한계를 빗겨가면서 반도체의 성능을 높인 대표적인
예
이기 때문이다.KAIST 반도체재료실험실은 구리칩과 같은 반도체재료혁명을 꿈꾼다. 구심점은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에서 15년 동안 연구 생활을 했고 93년부터 모교에 돌아와 후배 양성에 나선 강상원교수. 그의 ... ...
이전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