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곳"(으)로 총 8,6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세돌 1승][제4국 분석] 알파고 무너뜨린 신의 한 수, 78수의 비밀2016.03.14
- 살리면 백이 빠져나온 곳에 있던 한 점을 흑이 따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흑이 약한 곳이 없어 이길 수 없습니다. 40집이 넘는 돌을 버리면서 상대를 흔들어가는 이세돌 9단의 승부근성이 정말 대단합니다. ○백 70수: 백 70수 - 바둑의 제왕 제공 이대로 상변이 고스란히 흑의 수중에 떨어지면 패배가 ... ...
- [알파고 1패] AI 전문가들이 분석한 알파고의 약점2016.03.14
- “이세돌 9단이 난전(亂戰)을 통해 버그를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 곳에서 전투를 벌였을 때 연산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훨씬 늘어나게 됐고, 그 과정에서 약점이 드러났다. 또 다른 약점이 발견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덧붙였다.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은 “알파고는 ... ...
- 나만 못살게 구는 상사 해결법2016.03.13
- 싶은 마음이 있을 것입니다. 피라미드의 꼭대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는 높은 곳에 올라가서 아래를 내려다 보고 싶을 것입니다. 그러면서 어느 정도 일의 보람도 맛보고 싶고, 다른 동료나 혹은 미래의 부하직원에게 좋은 평가도 받고 싶겠죠. 그렇다면 상사의 어떤 점이 바람직한지, 혹은 ... ...
- 달콤함이 가득! 과학자들의 사탕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3.13
- 구석구석 닿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넓게 퍼져 있어요. 이 혈관은 화학물질을 몸속 곳곳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요. 모세혈관을 한 줄로 이으면 10만km가 넘는답니다. 인공 모세혈관을 만드는 작업은 매우 어려워요. 모세혈관처럼 굵기가 얇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어렵기 ... ...
- [알파고 3승][제3국 분석] ‘흑125수’ 에서 찾아낸 알파고의 약점2016.03.13
- 만들어 준 흑의 선택이 아쉬운 대목입니다. ●흑 31수: 흑 31수(왼쪽). 31수는 이 곳이 아니라 오른쪽의 참고도처럼 뒀어야 했다. - 바둑의 제왕 제공 이 수는 부분적으로 모양이 좋은 수지만 강한 흑 넉 점과 위치가 가깝습니다. 그리고 지금쯤이면 ‘강한 돌 가까이에 두면 효율이 떨어진다’는 ... ...
- 패싸움도 안 통했다…이세돌, 176수 만에 불계패동아일보 l2016.03.12
- 사범은 대국 내내 공개해설장을 찾았습니다. 이 9단, 역시 당연한 수(흑 17)를 두네요. 그곳을 뚫지 않고는 얘기가 안됩니다. 알파고도 필연의 수순(백 18)으로 갑니다. 이현욱 9단은 “흑 19와 백 20은 예상되는데 그 다음수가 어려워 이 9단이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1국에서 구글 측은 알파고가 ... ...
- [조성하 전문기자의 休]2600그루의 유혹, 오매 꽃멀미 나겠네동아일보 l2016.03.12
- 심은 것. 그런데 히로사키는 일본 최대의 사과 산지이자 ‘후지’ 품종을 개발한 곳이기도 하다. 사과나무 경작과 재배를 통해 습득한 기술은 벚나무 개량에도 기여했다. 다양한 빛깔과 모습으로 공원을 뒤덮은 50종의 벚나무가 그걸 말해준다. 벚나무 아래선 꽃놀이가 한창이었다. 일본인의 ... ...
- [알파고 vs 이세돌]이세돌, 제3국은 초중반에 승부 걸어라2016.03.12
- 여러 번 대국시켰더니 역시 알파고B의 승률이 높게 나오더라. 그러면 두 줄 떨어진 곳까지 세는 게 바로 답이 된다. 4. 알파고는 이창호 9단의 업그레이드 버전 2국이 끝난 뒤 1국보다 훨씬 큰 충격을 받았다. 1국에서 알파고는 작년 10월보다 엄청나게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지만 적지 않은 실수들을 ... ...
- 구글, 너희가 인공지능의 최고라고? 천만의 말씀!2016.03.11
-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 쉽게 설명하자면 물이 흐르거나, 높은 곳에서 물체가 떨어지거나, 바람이 불어서 나무가 흔들리는 것 같은 이 세계의 모든 물리적 현상을 실제와 가깝게 가상으로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인 것이죠. 딥 러닝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사고할 수 있게 만드는 ... ...
- 집안 디자인만 바꿔도 치매치료 효과동아일보 l2016.03.11
- ‘인지건강’을 돕기 위해서다. 서울시가 인지건강 연구진의 아이디어에 따라 집 안 곳곳을 변화시켰다. 인지건강 디자인의 핵심은 ‘간소한 일상’. 서울시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정지향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교수는 “잡동사니가 많아 물건을 찾지 못하는 등 일상의 어려움이 있으면 환자들이 ... ...
이전6976986997007017027037047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