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가진 공간을 찾는 연구를 하시는데 2007년, 오목하게 휘어진 4차원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
을 찾으셨대. 이 이전에는 원처럼 볼록한 공간이 있다는 것만 알려져 있었다고 해.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국제수학자대회는 27일까지 계속됐지만 24일 한국으로 돌아오게돼 아쉬웠어. 4년 뒤를 기약하며 ... ...
function과 函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중국어 발음으로 하면 우리말보다는 더 비슷하기는 하다. 하지만 좀 우스꽝스러운 것은
사실
이다.그런데 이런 일이 수학 용어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그 중 하나가 함수라는 용어다.함수는 영어로 function이라고 하는데 ‘기능’ ‘작용’ 등을 뜻한다. 이것을 중국인들은 그들의 발음으로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우주쓰레기 쌓이고 극자외선 지표까지 들어와열권이 수축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사실
열권의 대기 밀도가 낮아지면 인공위성에게는 나쁘지 않다. 인공위성의 운동을 방해하는 대기의 마찰력이 줄어 인공위성의 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이다.아마 인공위성이 대기 밀도가 높은 200km 아래 고도에서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셈이다. 개인마다 고통을 느끼는 강도도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체벌 기준을 정하는 일도
사실
상 어렵다.체벌은 부작용도 매우 크다. 2002년 미국 콜롬비아대의 엘리자베스 게르쇼프 박사는 1940년부터 62년 동안 이뤄진 체벌에 관한 연구 88개를 분석한 논문을 미국 심리학자가 발행하는 ‘심리학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희소금속이 있긴 하지만 다양한 첨단산업을 유지하려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
이다. 그렇다면 외국에서 희소금속을 수출해 줄 때까지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국내 전문가들은 ‘자연에서 원하는 금속을 뽑아내는 제련, 정제 기술’ 등 희소금속을 얻는 과학기술을 확보하면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등을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과학은 한 가지
사실
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실
들을 불러온다. 예를 들면 진공의 발견과 그에 따른 과학의 발달을 들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진공 상태가 불가능하다고 확신했다. 하지만 17세기 들어 진공이 발견됐고, 그 속성이 구체적으로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별의 온도가 수천∼수만℃라 팽창하는 압력이 매우 큰데 어떻게 뭉쳐 있는 것일까.
사실
별은 가스가 도망가기는커녕 아주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다. 별의 가스가 팽창하려는 힘(압력)과 별의 전체 질량 때문에 생기는 끌어당기는 중력이 팽팽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균형이 깨지는 것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노입자를 만들 수 없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
사실
장 교수가 실험을 하는 동안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먼저 발표한 곳이 있었다. 그 연구팀은 폴리피놀이라는 전도성 물질로 지름 80nm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는데, 논문에 “여러 가지 조건 상 80nm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 장치가 내는 신호를 통해 은북이가 남해는 물론 멀리 일본 근처까지 헤엄쳐 다닌다는
사실
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신호음은 멀리서 안부를 전해 온 바다거북 은북이의 메시지! 임무 완료! ▲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찾는 문제를 이어받아 미적분으로 체계화 했다.미분과 적분의 관계
사실
미분과 적분은 각각이 갖는 의미도 중요하지만 둘 사이의 관계도 중요하다. 곡선에 접선을 긋는 문제로부터 발달한 미분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것에서 시작한 적분은 마치 덧셈과 ... ...
이전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