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안녕하세요, 교수님! 먼저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저는 자연수, 정수, 실수, 복소수 등 다양한 수의 구조를 연구하는 수학자입니다. 그 중에서도 ‘보형 형식’을 주로 연구해요. 쉽게 설명하자면, 문제 자체는 간단해도 풀기는 어려운 경우가개발됐어요. 보형 형식도 그 중 하나에요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적혈구는 온몸에 산소를 전달하는 세포입니다. 적혈구 안에는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면 붉은 색을 낸답니다. 그런데 적혈구는 다른 세포와 달리 ‘구멍이 막힌 도넛 모양’이에요. 왜 그럴까요? 일반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와 비율은 분수와 같은 개념입니다. 분수는 기준이 되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비와 비율을 배우는 도입부에 분수의 의미부터 다시 짚어주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비와 비율을 나타내려면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이라는 2개의 값이 필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 에디터 노트는 딴소리로 채우려고 한다. 이 책을 만들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번 호 특집을 맡은 이영혜 기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일을 도맡아 하는 리더다. 흥미로운 모션그래픽이 다 그의 손에서 기획되고 완성되며, 길고 긴 뉴스 페이지 역시 이 기자 덕분에 오롯이 유지되고 ... ...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매년 여름 발병하는 집단 식중독 원인균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을 수 시간 내로 진단할 수 있는 다중유전자증폭(multiplex PCR) 키트를 개발했다고 3월 7일 밝혔다.이번에 개발된 키트는 식중독 원인 ... ...
- [과학뉴스] 세상의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3월 9일 오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의 장관이 펼쳐졌다.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의 폭은 155km에 불과했다. 안타깝게도 서울에서는 오전 10시 10분부터 1시간 9분 가량 태양의 3.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밖에 볼 수 없었다.개기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리는 그날 불쾌한 골짜기에 첫발을 디뎠다. 이세돌 9단이 알파고에게 패배한 순간, 안타까움을 넘어 불안과 불쾌함이 엄습했다. 불쾌한 골짜기는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간단한 자동화 로봇이나 영화 ‘그녀’ 속 사만다 같은 완벽한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느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무어의 법칙’이 수십 년 안에 끝날 것으로 본다(미국의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 그런데 알파고처럼 연산 시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인공지능 연구가 계속된다면, 먼 미래에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게 ‘불가능’의 영역에서 ‘시간 문제’로 바뀔 수도 있다는 말이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도 해가 뜨고, 진다. 30년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직관대로라면 시간은, 순탄히 흐르는 강물처럼 보인다. 그런데 현대 물리학자들이 최근 들려준 이야기는 좀 다르다. 그들은 시간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는 판타스틱하다” 플라스마 엔지니어들은 흔히 플라스마가 기막히게 좋은 굉장한 물질 상태이며, 기상천외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유는 이렇다. 플라스마는 그동안 기체를 사용하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기체와 달리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
이전6966976986997007017027037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