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02
맛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카카오에서 초콜릿 얻는 마법 19세기 독일의 자연
과학
자였던 알렉산데르 폰 훔볼트는 초콜릿의 주원료인 카카오(Theobroma cacao)에 대해 “작은 씨앗 하나에 다양한 풍미가 들어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라고 감탄했다. 카카오를 갈면 하얗고 끈적끈적한 섬유질 속에 ... ...
터치 맨투맨 기초영어
과학동아
l
201002
직장인이라면 몰라도. 편집자 주 '터치 맨투맨 기초영어'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
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2명을 추첨해 체험 기회를 주고 사용 후기를 받는다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02
“현대
과학
이 균의 존재를 발견한 게 약 150년 전입니다. 19세기만 해도 균이 병을 일으키는지 몰랐어요. 자연발생설에 따라 생물은 자연적으 ... “누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자신이 선택한
과학
의 길을 부끄럽지 않게 꿋꿋이 닦아가는
과학
자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02
스피드스케이팅은 얼음 위에서 가장 빠른 사람을 가리는 종목이야. 남자 1000m의 세계기록은 1분 6초대. 100m를 6.6초에 달릴 수 있을 정도로 시속 54km가 넘는 빠른 속도지. 보기만 해도 바람을 가르는 쾌감을 느낄 수 있어. ✚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400m 트랙으로 육상 경기용 트랙과 거리가 같아. 하 ... ...
가장 아름다운 수학적 구조가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002
아름다운 수학적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최근
과학
자들이 이 구조를 관찰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라두 콜데아 박사팀은 가장 아름다운 수학적 구조라고 일컫는 ‘E8’을 관찰하는데 성공했습니다. ‘E8’은 1800년대 후반 수학자들이 이론적으로 생각해 낸 248차원의 ... ...
창의력과 인성을 키워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02
점수만으로 평가하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될 것 같습니다.교육
과학
기술부는 지난달 5일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을 확정하고 발표했습니다. 이 방안을 통해 창의적이고 인성을 갖춘 인재를 기르고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계획입니다. 교과별 교육 과정에 들어갈 창의·인성 교육 내용은 올해 안에 ... ...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일진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02
지난 1월 22일 한국공학한림원은 공학 및 기술에 기여한 분에게 시상하는 해동상과 일진상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 해동상은 ‘공학기술문화확산’ ... 창립해 CEO들의 교류를 강화한 공을 인정받았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과학
및 공학 발전에 기여하는 많은 분들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 ...
기억의 달인이 되는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어떤 노래를 들을 때, 예전 기억이 떠올랐던 경험이 있나요?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의 줄리아 심너 교수 연구팀은 공감각을 이용하면 더 잘 기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하나의 감각 자극을 다른 감각 정보와 합치는 것을 공감각이라고 해요. 연구팀은 두 그룹에게 120가지의 역사적인 ... ...
“ 위이잉~!” 짝을 부르는 모기의 날갯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 금방이라도 물릴 듯한 모기의 날갯짓 소리가 짝짓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과학
적으로 증명됐어요. 영국 깁슨 연구팀은 날갯짓을 할 때 서로 비슷한 주파수를 내는 모기끼리 짝짓기 한다는 것을 발견했답니다. 게다가 날갯짓 소리의 주파수가 다르면 서로 날갯짓을 조절하여 주파수를 ... ...
뽀송뽀송~, 새로운 버섯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솜털이 가득한 곰팡이처럼 보이지만 강원도 치악산에서 발견된 신종 버섯이에요. 신종이란 세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생물종을 말해요.이 버섯의 이름은 ‘주홍털구름버섯’으로, 학명은 ‘케레나 아우란티오포라 이&임’이에요. 학명에는 버섯을 발견한 국립생물자원관의 임영운, 이진성 박사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