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스페셜
"
형태
"(으)로 총 1,72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가속기 연구와 기술의 근간이라고도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MLL은 지금까지 부피가 큰
형태
로만 개발되어 매우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빛을 다루는 칩 규모 나노광학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리튬 니오베이트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신속한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이노첸시오(인노켄티우스) 3세(1161~1216)는 어떤
형태
의 수술이든 교회법에 의해 명백히 금지된다고 선언했다. 유럽에서는 발전이 거의 없었지만 이슬람교가 득세를 한 서남아시아 지역에서는 10세기에 구순구개열 수술법이 개발되는 등 약간의 진전이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파리지옥의 덫 구조가 닫히기 위해 필요한 활성 신호의 조건 식물도 동물과
형태
는 다른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인식하고 기억할 수 있지만 그 신호들을 처리하는 방식은 분자 수준에서는 유사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동물들도 외부 신호를 처리할 때나 어떤 정보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이 물질을 백신으로 사용하면 HIV는 어느새 변이를 일으켜 사람이 면역력을 가질 수 없는
형태
로 바뀌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 40년간 의학자들과 HIV는 백신 개발과 백신을 무용화하기 위한 변이 형성을 위해 계속 전투를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HIV가 계속 승자가 되고 있는 중이다. 기대한 백신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것이다. 에어컨은 냉각수를 이용하므로 냉각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여 비말
형태
로 사람으로 전파되어 감염증을 일으킨다. 여름이 더워지고 길어질수록 더위를 이겨내기 어렵다 보니 에어컨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아지면서 환자발생도 늘어났다. 지금은 아지스로마이신이나 레보플록사신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구멍은 음의 에너지를 지닌 전자의 부재로서 이는 양의 에너지를 지닌 양전하 입자라는
형태
로 나타난다. 결국 감마선 에너지가 둘 다 양의 에너지인 전자와 양전하 입자 쌍으로 바뀐 셈이다. 디랙방정식 자체는 이론물리학자 사이에 엄청난 찬사를 받았음에도 음의 에너지에 대한 해석은 조롱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염기의 잘못된 변화를 '미스센스 돌연변이'라고 한다. 알파미스센스는 DNA가 정상적인
형태
를 유지할지 예측하는 방식으로 질병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다. 알파미스센스는 구글 딥마인드가 앞서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를 토대로 개발됐다. 2020년 개발된 알파폴드는 당시 인간이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실체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생식세포를 통해 전달된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이 어떻게 무슨
형태
로 소수의 신경세포에 기억정보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아직도 생명체가 어떻게 배우고 저장하는지를 이해하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않는다. 육류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건 단백질이 소화되기 쉬운
형태
라 항원으로 작용하기 어려운데다 몸에 독이 될 성분이 들어있지 않아서다. 반면 8대 알레르기 유발 식품군은 독소로 작용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계를 자극하고 마침 소화가 잘 안 되는 단백질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며 "익룡과 공룡으로 양분된 시대가 찾아오기 전에 생물종들은 생존을 위해 각자 독특한
형태
로 변화했다"고 밝혔다. 실제 라게르페티드는 작은 체구를 가진 파충류였지만 날카로운 부리와 위협적인 갈고리 모양의 발톱을 갖추면서 사냥을 할 수 있게 됐다. 동시대에 살았던 다른 육식공룡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