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혐오"(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들 코로나19 감염되면 건강보다 주변 비난을 더 걱정"동아사이언스 l2020.05.20
- 언론의 보도에 따라 혐오를 표현하는 대상도 바뀌었다. 유 교수는 “코로나19 관련 혐오표현 대상을 보면 첫 설문에선 중국과 중국인이 많았지만 최근엔 성소수자와 사회적 거리두기 원칙을 벗어난 사람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고3의 등교가 시작되는 등 한국사회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성범죄에 단호한 시민사회를 위한 교육2020.04.11
- 뿐이라며 감싸줄 것이라며 성범죄를 편안하게 여기도록 만든 셈이다. 유구한 여성 혐오 및 남성 우월주의 뿌리를 갖고 있으면서 성범죄에까지 관대한 나라에서는 당연히 성범죄 꿈나무들이 무럭무럭 자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어쩌면 이런 나라에서 성범죄가 이른 나이에서부터 일어나지 않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성범죄를 단순 호기심이라는 'n번방' 26만명의 성착취 가담자들 2020.04.05
- 적극적으로 유포하며 피해를 극대화하는 식이다. 최초 가해자가 커뮤니티의 여성혐오 동지들에게 함께 피해자를 테러해달라고 당당하게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불법촬영물이나 성착취물이 올라와도 보지 않고 퍼트리지 않으면 가해가 커질 일이 없는데 많은 남성들이 ‘그저 호기심일 뿐’이라는 ... ...
- 트럼프 "코로나19, 중국 바이러스라고 안 부르겠다"연합뉴스 l2020.03.26
- 세계보건기구(WHO)의 지침과 어긋나는 데다 자칫 중국계를 포함한 아시아 인종에 대한 혐오를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에는 미국과 전 세계 아시아계 미국인 보호가 중요하다면서 코로나19 확산이 이들의 잘못이 아니라는 취지로 언급하며 진화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감염병 사태는 표심을 바꾼다 2020.03.21
- 것이다. 전염병이 창궐하게 되면 우리의 마음은 감염의 위협을 막기 위해 이전보다 혐오 민감성(disgust sensitivity)을 높이고 필요하다면 거리두기, 차별, 배척까지 활용하게 된다. 질병과 직접 싸우는 신체적 면역체계와 함께 우리를 감염의 위협으로부터 지켜준다고 해서 '행동적 면역체계'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표정을 보면 감정을 읽을 수 있을까2020.03.18
-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들은 먼저 인간의 기본 감정 6가지를 정했다. 기쁨, 공포, 혐오, 분노, 놀람, 슬픔이다. 그리고 서구인의 얼굴 사진 3000장 가운데 6가지 감정을 전형적으로 드러내는 표정을 담은 사진 30장을 골랐다. 얼굴표정부호화시스템(FACS)으로 분석한 6가지 기본 감정. 왼쪽부터 ... ...
- 코로나19 불안·스트레스는 정상 반응…"심하면 약물·심리치료"연합뉴스 l2020.03.11
- 있다는 정신적 연대감을 가질 기회"라고 말했다. 정부 역시 확진자에 대한 조롱, 혐오 등을 자제해야 한다며 사회·심리방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확진자에 대한 과도한 사생활 침해, 비난, 조롱 ...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2020.02.19
- 드러내놓고 중국인 출입을 거부하는 식당과 상점도 있다. 중국에서는 우한 사람들이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국의 야생동물 식용 전통도 도마 위에 올랐다. 야만적이고 비위생적인 음식문화가 문제라는 것이다. 변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우한의 화난수산물도매시장에서 식용으로 거래되는 ... ...
- "최근 세계적 유행 신종 감염병 원인은 대규모 서식지 파괴 탓"연합뉴스 l2020.02.18
- 전망' 긴급좌담회에서 이 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급성전염병 발생 시 혐오, 인권, 인간-동물 관계'란 토론문에서 "중국 양쯔강(揚子江) 중류지역이 급격히 개발되면서 코로나 19의 발원지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도 다양한 생태서식지가 많이 사라졌다"며"실제 우한은 중국 개발의 ...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2020.02.15
- 면역계와 감염균의 병원성은 수억 년 동안 군비경쟁을 벌이며 공진화했다. 인류는 혐오의 심리적 모듈을 통해서 당시의 진화적 환경에서 효과적인 행동 면역계를 진화시켰다. 식재료의 종류와 요리방법, 식사 방법 및 향신료 등의 다양한 식문화도 감염병을 막는 문화적 장치다. 넓은 의미에서 현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