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스페셜
"
한편
"(으)로 총 1,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복측피개영역 내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한편
에너지충족감은 배고픔을 감지하는 시상하부 내 AgRP 분비 신경세포들이 감지하여 식욕을 조절하게 되는데, 음식 섭취에 따른 에너지 충족감은 AgRP 신경세포-외측시상하부-복측피개영역의 경로로 전달되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밀이 50% 이상 들어있어 색이 밝고 탁해 독일어로 weiss bier(흰맥주)라고도 부른다.
한편
바이에른공국에서는 기존 상면발효인 에일맥주(밀맥주도 여기에 속한다)와 함께 저온에서 하면발효로 맥주를 만드는 양조장이 하나둘 생겨났다(갈색맥주로 불림). 14~15세기 소빙하기로 포도 재배 한계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기준으로 5건의 화산 폭발이 일어난 시기를 좀 더 정확히 추정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한편
빙상코어의 황 농도만 보면 초대형 화산 폭발이었을 것임에도 두 건은 댄존 등급이 각각 3과 4로 나왔다. 아마도 분출 각도가 기울었거나 순간 세기가 약해 이산화황 대부분이 대류권에 머문 채 확산한 결과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의 감각 지닌 문어 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5
날 문어의 화학촉각 수용기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담은 또 다른 논문
한편
도 네이처에 발표했다. 극저온전자현미경은 ‘극저온’이라는 이름 그대로 수용액에 담긴 생화학 분자를 영하 200도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급속히 냉각시켜 분자의 움직임을 잠깐 멈추게 한 뒤 정밀하게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우수 밀원수였다. 수종별/개화시기별 꿀 잠재생산량 추정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한편
국내 양봉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밀원자원을 확충할 필요가 있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전체 산림면적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사유림은 밀원수 식재에 부정적이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용서와 배신의 '딜레마'
2023.04.01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커플의 평소 관계만족도, 자존감 등과 상관 없이 나타났다.
한편
이렇게 원만성이 낮은, 소위 착한 사람들을 쉽게 등쳐먹는 사람들이 존재하니까 용서는 하지 않는 것이 더 이로운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을 등쳐먹고 사는 사람들이 결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리간드라고 부른다)의 유전자와 이를 인식하는 수용체 유전자로 이뤄져 있다.
한편
수용체의 대다수가 G단백질연결수용체(GPCR)로 거의 1000가지나 된다. GPCR은 세포막에 박혀있는 단백질로 바깥쪽에서 온 리간드가 달라붙으면 구조가 바뀌면서 세포 안쪽의 G단백질에 영향을 줘 신호를 전달한다.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신체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 기법이 검증되려면 많은 시간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라우마 치료 분야에서 근거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치료법은 공포 기억에 점진적으로 노출해 기억 재처리를 돕는 방법인 '지속노출치료'가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당했던 기억을 계속해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때마다 18세기 말의 영국 의학계를 떠올리게 하던 전시물을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것이
한편
으로는 아쉽기도 하다. ※ 참고문헌 1. Wendy Moore. The Knife Man: Blood, Body Snatching, and the Birth of Modern Surgery. Crown. 2007 2. 헌터박물관 홈페이지 (https://www.rcseng.ac.uk/museums-and-archives/hunterian-museum/) 3. Skeleton of man who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반응해 통로가 열리며 활성화돼 심박수가 높아지며 생쥐가 불안 행동을 보인다(왼쪽).
한편
뇌섬엽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iC++)은 파란빛에 반응해 통로가 열리며 빈맥으로 유발된 불안을 차단한다(오른쪽). 네이쳐 제공 ● 뇌섬엽이 허브 그렇다면 심박수 증가 정보가 뇌의 어디로 전달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