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값
지가
우렁이
우렁
귀앉정
스페셜
"
토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가축을 키워 고기 1t을 생산하는 데는 각각 에너지가 26~33GJ(기가줄), 물이 367~521㎥ ,
토
지가 190~230㎡ 필요하다고 2011년 국제학술지 ‘환경 과학 및 기술’에 발표했습니다. 또 이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1.9t에서 최대 2.24t으로 계산됐습니다. 그런데 이를 줄기세포 배양육으로 대체하면 에너지 ... ...
모유 수유로 엄마의 건강한 항체 전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미생물이 항체를 만들어 내고 이 항체가 모유를 타고 전달되는 것을 밝혀냈다. 판
토
에아는 쥐와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 내장에서 서식한다. 항체는 태아의 FC 수용체를 통해 내장과 혈류로 전달된다. 태아의 FC 수용체는 태아가 태반에서 접촉하는 모계의 항체를 태아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사망 원인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발병률도 높아진다. 이런 패턴의 변화는 페롭
토
시스로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 ... ...
軍·과학자 모여 미래 전쟁 판도 바꿀 '생체모방 무기' '우주전'을 말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수준 및 전망 등이 논의된다. 육군교육사령부 관계자는 “K-MSC를 매년 전·후반기 열고
토
의 내용을 관련 기관에 전파해 미래 군사력 건설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산 피에트로 광장에서 대학 방문을 호소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베네딕
토
16세는 대학방문을 취소했고 갈릴레이의 업적을 찬양하는 등 화해의 제스처를 취했다. 이 일화를 전해 들으면서 나는 이탈리아가 역시 선진국이구나 싶었다. 한국 사람들 중에는 서유럽 나라들 중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아닌 다른 새로운 컴퓨터로 이 과제에 도전하겠다는 과학자들이 있다. 일본
토
호쿠대와 미국 퍼듀대 공동 연구팀은 자기터널접합 소자를 비트로 하는 자칭 ‘확률컴퓨터(stochastic computer)’로 인수분해 연산에 성공했다고 ‘네이처’ 9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8비트 프로세서로 3자릿수인 ‘94 ... ...
소재·부품·장비 R&D 신속 추진 위해 규정 손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및 향후계획안은 비공개로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4호 안건의 경우 이번 기술 특위
토
의 결과를 반영해 11월 중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있었다. 아마 수천 년 전 비옥한 초승달 지역의 어느 마을에서는 연신 모기를 쫓아내며 점
토
판에 쐐기문자를 새기는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말라리아에 관한 기록은 기원전 4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전의 의학을 집대성한 인물이니 인류는 문명의 초기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현상이 아니라 생리적인 현상이라는 말이다. 미국 버팔로대 심리학과 앤-마리
토
레그로사 교수팀은 그 이유가 침의 조성 변화에 있을지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보기로 했다. 연구자들은 쥐의 먹이에 쓴맛이 나는 분자인 타닌산(3%)과 퀴닌(0.375%)을 섞어 제공했다. 다른 먹을 게 없었기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뇌과학자가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바스천 로열 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커넥
토
믹스연구단 책임연구원 신 단장 연구진은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와 빛을 이용해 공포 반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쥐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소개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