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스페셜
"
층
"(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ETRI 중·고교생에 1억4400만원 사랑의 장학금 전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졸업 후 LG디스플레이 취업을 보장한다. ■부산대는 19일 오후 4시 부산대 대학본부 3
층
에서 대중 학술 강연 '제1회 PNU 리서치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한 정세영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가 '녹슬지 않는 구리, 비밀을 밝히다'라는 ... ...
민간 우주정거장 만드는 미 액시엄스페이스 회장 "한국 제2우주인 기업 주도로 만들자"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인류의 차세대 우주 보금자리’를 주제로 진행됐다. 서울대 유회진학술정보관 5
층
의 조그만 세미나실이 약 40명의 대학생과 대학원생들로 가득 찼다. 가파리안 회장은 “학생들에게 우주에 대한 영감을 주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며 “미래 세대가 가지는 영감은 우주 개발을 이끌어 갈 ... ...
무질서에서 질서 생성되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구조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 세포가 필요에 따라 세포막을 접는 구조를 만들지만 이중
층
구조 자체를 안정적·규칙적으로 접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은 “무작위한 고분자 사슬 서열에서는 지용성 부분이 몰려 있는 구간이 상당히 큰 확률로 생기기 때문에 사슬들이 만날 때 ... ...
고성능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개발자 이정용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움직임은 태양전지 성능과 직결된다. 이 교수팀은 이종 반도체 사이에 계단형 에너지
층
을 삽입해 효율적인 전하 전송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광전소자를 개발했다.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 직진성과 응답속도가 좋아 태양전지 성능을 높이는 데 주된 역할을 했다. 개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분 좋은 터치의 비밀
2022.05.03
피부 아래에서 시작해 척수의
층
판Ⅱ에 있는 뉴런과 시냅스를 이룬다. 연구자들은
층
판Ⅱ 뉴런 표면에 있는 수용체를 조사했고 이 가운데 기능을 모르는 PROKR2가 있는 뉴런에 주목했다. PROKR2는 프로키네티신2(PROK2)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인식하는 수용체(R)다. 실제 이 뉴런에 연결된 C섬유가 자극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서울대치과병원, 제2회 연구부문 우수 교수 표창 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9
수상하고, 손원준 치과보존과 교수가 연구상을 수상했다. 수상자의 명패가 원내 본관 8
층
‘역대 연구부문 우수 연구자 현판’에 부착될 예정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이 28일부터 내달 8일까지 국내외 대학 또는 대학원의 졸업예정자와 졸업생을 대상으로 2022년 하계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자를 ...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시작부터 '삐걱' 달 탐사용 로켓 시험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2014년부터 개발된 SLS는 2단으로 이뤄진 NASA의 차세대 우주로켓이다. 높이만 111.25m로 30
층
건물 정도의 초대형 로켓이다. 지구저궤도에 143톤(t)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어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로켓 가운데 추진력이 가장 크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아폴로 탐사선을 보낸 '새턴5'보다 순수 추력은 더 ... ...
[표지로 읽는 과학]유리를 인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7
이후 한 번에 응고되도록 해 구조를 만드는 기술이다. 3D프린팅 기술의 일종이지만 한
층
씩 쌓는 보통의 3D프린팅 방식에 비해 전반적으로 강도가 일정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유리는 특히 균열이 많거나 표면이 거칠면 더 쉽게 부서지는 경향이 있는 만큼 매끄러운 표면이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퀀텀닷으로 LED 조명을 만들었다. 바닥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 만든 매우 얇은
층
을 깔았다. 인듐 주석 산화물은 매우 얇을 때 전기가 통하는 동시에 투명해서 디스플레이의 양극 소재로 흔히 사용된다. 그 위에는 실리콘 퀀텀닷을 깔았다. 퀀텀닷은 콜로이드 용액 형태로 만든 뒤, 기계장치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CES 혁신상 제품 소개 '과학신기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높이기 위한 ‘과학전시 디자인연구실’을 구축해 운영중이라고 11일 밝혔다. 전시관 1
층
에 있던 창작공간을 리모델링해서 만들었으며 각종 설계도구와 3차원(3D) 프린터, 레이저컷 등으로 콘텐츠 시제작을 돕고 있다. 콘텐츠 자체 디자인이 낮선 국내 과학관계와 달리 해외 유명 과학관에서는 미국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