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스페셜
"
지형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의 강 형성 비밀은 호수 범람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미쳤음을 시사한다. 티모시 구지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구과학부 교수는 “화성
지형
은 지구보다 더 격한 변화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를 담은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29일자에 소개됐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단류-창조식’으로 전기를 생산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서해안의 완만한 경사의
지형
적 특성 때문에 썰물 때에는 발전기를 가동할 정도의 수위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 밀물은 물론이고 썰물이 빠져나갈 때도 발전이 가능한 프랑스 랑스조력발전소의 ‘복류식’보다 가동률이 ... ...
미 NASA 로버 ‘바이퍼’, 달 착륙 우주인 쓸 물 찾아 컴컴한 '달 남극'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추진하고 있다. 노빌레 충돌구는 달이 운석 등 작은 천체와 부딪혀 형성된 움푹한
지형
이다. 달의 극지방에서는 태양이 수평선에 가깝게 놓인다. 이런 이유로 극지방의 충돌구 내부에는 햇볕이 영구적으로 들지 않는 넓은 지대가 형성된다. 이 지역은 기온이 영하 223도까지 내려간 채로 계속 ... ...
NASA 첫 달 로버 탐색지는 달 남극 '노빌레 분화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선정된 노빌레 충돌구는 달이 다른 작은 천체와 충돌해 만들어진 지름 73km의 움푹한
지형
이다. 달의 극지방에서는 태양이 수평선에 가깝게 놓인다. 때문에 극지방의 충돌구에는 영구적으로 햇볕이 들지 않는 넓은 지대가 형성된다. 이 지대는 온도가 영하 223도까지 내려간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 ...
델타에 이어 뮤까지…새 변이 등장에 복잡해지는 코로나19
지형
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3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까지 국내에서 3건의 ‘뮤 변이’ 해외유입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뮤 변이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 바이러 ... ...
사우디 북부 사막은 10만년 주기로 '초원의 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추정해왔다. 연구팀은 네푸드 사막 북부에서 발견된 축구장 7개 넓이의 움푹한
지형
인 ‘칼 아마이샨4’에서 과거 호미닌이 쓰던 돌 칼날 모양의 석기를 찾아냈다. 이 지역은 최근 40만년간 간빙기 때마다 강우량이 늘어나며 호수가 형성됐던 곳이다. 약 40만년전 처음 호수가 형성된 뒤 10만년 ... ...
[우주산업 리포트]이란과 UAE 자극받은 '중동 큰 형님' 사우디의 우주개발
2021.09.03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사막에 모래언덕처럼 중동지역에서 쉽게 목격되는
지형
들의 변화를 추적 관찰할 수 있고 그것이 강수량을 비롯한 각종 기상 현상과 어떤 연관 관계가 있는지도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ACST는 스탠퍼드대와도 새로운 우주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 ...
유인 달탐사 착륙지 찾을 미 NASA 섀도캠, 한국 달궤도선에 설치 끝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게 목표다. 섀도캠은 2024년 NASA의 유인착륙 후보지를 탐색하며 물이나 자원의 존재 여부,
지형
적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NASA는 반대급부로 달 궤도선을 궤도에 보내는 항행기술과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기술을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 ...
[지구는 살아있다]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
2021.08.28
화산폭발로 용암이 흐른 통로에 만들어지면 용암동굴이라 합니다. 한국에는 석회암
지형
이 많은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석회동굴이 많습니다. 강원도 삼척의 환선굴, 충청북도 단양의 고수동굴이 그 중 유명합니다. 화산활동이 활발했던 제주도에는 용암동굴이 많습니다. 만장굴과 협재 ... ...
48시간 전 날씨를 보고 산사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민간협력형 두 가지다. 공공협력형은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 발생 이력,
지형
·지질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기상에 따른 산사태 예측모델을 제안 받았다. 공공협력형 분야에서 ‘황령산호랑이팀’이 산사태 발생 예측모델을 개발해 환경부장관상인 최우수상을 받았다. 황령산호랑이팀은 2018년 6~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