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공"(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8
- 과학자들을 맞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중 공학전공 희망자를 대상으로 '청소년 공학 프런티어 캠프'를 준비했다. 7월 30일부터 8월 9일까지 1·2차에 걸쳐 진행될 이번 행사는 선배와 함께하는 공학실험, 공학특강, 연구실 체험, 공학 글쓰기 등으로 채워지며 ... ...
- 인체 장기의 '네트워크'를 자극하는 스트레칭과 침술동아사이언스 l2013.07.04
- 과학'을 비중있게 소개했다. 동아일보 제공 저자인 미국 버몬트 대학 신경생리학 전공 랑제빈(Helene M. Langevin)교수에 따르면 그동안 결합조직에 관한 일부 연구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돼왔다. 대표적으로 섬유세포(fibroblast)는 결합조직과 주변 기관을 연결하는 콜라겐 같은 단백질을 합성하는 ... ...
- ‘인내’와 ‘상상력’이 바이오기업의 성공 키워드 동아사이언스 l2013.06.27
- 분석하며 투자를 진행해 함께 성장시키는 일이 그의 업무다. 대학 때 생물학을 복수 전공한 김 박사는 텍사스대학에서 발생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때문에 단순히 벤처 분석과 기업 성장 노하우 뿐만 아니라 상당히 높은 수준의 바이오 지식을 자랑한다. 이런 배경 덕분에 그는 한국의 ... ...
- 창의적 가치혁신 활동 동아사이언스 l2013.06.21
- 기여하며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여 향후 우수인력 확보에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전공의 창의적인 국내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Idea Pool은 소비자 니즈 파악 및 새로운 차별화 요소 발굴을 위한 직·간접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신기술, 신공법 등의 외부 기술을 발굴하거나, 만화가에게 ... ...
- 참가자가 직접 들려주는 Wellman center 인턴십 이야기KAIST l2013.06.19
- 지원을 권유받았다고 한다. 김성윤 학생은 주 전공이 화학이지만 생물 과목을 복수 전공하고 있으며 평소 의학 쪽에 관심이 높은 학생이다. 거기에 Harvard와 Wellman의 현장을 경험하고자 하는 마음이 보태져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되었다. 현재 Wellman center에서는 Hematopoietic stem cells(HSCs, ... ...
- 디지털 두뇌에 전파의 날개를 달아라!동아사이언스 l2013.06.11
- 주제 혹은 미래 전파 기술과 관련된 자유 주제로 응모 가능하다. 이번 대회는 전파관련 전공 학부생(2년제 포함) 및 대학원생으로 개인 또는 팀을 구성해 참여가 가능하다. 심사는 1차 서면심사를 통과한 작품에 한하여 제안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 또는 창작물에 대해 설명하는 2차 발표심사로 ...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KAIST l2013.06.10
- 하지만 내가 처한 현실이 무엇이며, 내가 가진 능력이 무엇인지 고려해야한다. 나는 전공을 선택할 시기가 왔을 때 특정 분야로 마음을 정하지 못한 상태였으나 실제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싶다는 마음은 있었다. 그래서 분야가 무척이나 다양해 선택의 여지가 많고 응용을 중시하는 ... ...
- 원자력의 전망이 어둡다고요?절대 그렇지 않습니다!KAIST l2013.05.28
- 제가 그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지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원자력 분야는 원자력 공학 전공자뿐만이 아니라 화학이나 생명등 모든 분야의 인재가 필요한데, 최근에 UAE와 요르단에 원전을 수출하면서 인력이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에요. 그래서 한국전력공사나 한국수력 원자력(주)에서 ... ...
- 인기 좋은 팔방미인의 비결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덕분에 물리, 기계, 화공, 전자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과 작업할 수 있었다"면서 "전공에서부터 이곳저곳 불려다니기 좋은 조건을 갖춘 셈"이라고 웃으며 말했다. 소문난 과기계 마당발의 비결은? 그런 신 회장이 오늘날 다양한 직함을 가지고 활동을 하게 된 계기는 간단했다. 신 회장은 ... ...
- 로봇 장인이 꿈꾸는 진정한 공존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연결시키는 기술 등 개발해야 할 분야가 많다"고 밝혔다. 바로 이 점에서 유 단장의 전공인 로봇공학이 빛난다. 사람과 기계가 서로 움직임을 주고받는 바이오닉 인터페이스 및 원격존재 기술 등 인체감응 확장공간 구축의 핵심 요소가 그의 작품인 인간형 로봇 마루 시리즈를 바탕으로 개발되고 ... ...
이전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