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
약제
약물
약품
의약품
의약분업
분업
스페셜
"
의약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Professor) 2001년 4월~2004년 9월 한국글락소스미스클라인 부사장 2004년 10월~2007년 5월 삼양사
의약
사업본부장 연구소장/부사장 2007년 7월~2011년 8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과/마취통증의학과 교수 2007년 7월~2011년 8월 서울아산병원 임상연구센터 소장 2008년 1월~2011년 8월 국가임상시험사업단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회장 2004년~2006년 서울대 의대 특수생명자원센터 소장 2003년~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
학부 정회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항암제 연구에 새 길을 열기도 했다. 김 교수가 2007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해 미국 식품
의약
품안전청(FDA)에서 이례적으로 빨리 승인 받은 흑색종 치료제(젤보라프)는 신약 개발 방법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 약은 지난해 8월 미국에서 허가를 받고 올해 2월 유럽에서 승인을 취득하며 세계 의료과학계의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성무제 박사=한국은 이미 성공한 사례(특허 만료된
의약
품)를 보고 뒤따라 하는 걸 잘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로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미국에서는 하버드의대 교수 등이 연구한 새로운 아이디어로 벤처기업을 차리려는 준비가 한창이다. 한국은 기초과학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덧붙였다. 한옥으로 지은 생명연의 부스는 여러 부스 중 단연 돋보였다. 생명연과 한
의약
연 등 정부출연연구소도 BIO 행사에 참가해 공동연구 등을 위한 홍보 활동을 벌였다. 특히 생명연은 한옥 모양으로 부스를 꾸며 외국인 참가자의 발길을 잡아당겼다. 정흥채 생명연 성과확산실장은 “2006년부터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병원이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안도걸 국장의 ‘이것만은 꼭!’ △활짝 열린 바이오
의약
품 시장을 주도할 세계적인 제약기업 필요 △병원의 축적된 임상정보를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도걸 국장은 1986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부 1988년 서울대학교 정책학과 석사 2006년 미국 하버드대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장기 플랜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버섯 같은 임산물이나
의약
품을 개발하기 위한 단기 계획과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장기 계획을 함께 고려해 단계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산림과 관련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산림과 관련한 전문가가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충북은 2010년 말 이전을 완료한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이
의약
품의 인·허가와 안전성 평가는 물론 질병예방과 보건의료 정책개발을 유기적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3년 이후 준공될 첨단의료복합단지에 신약개발지원센터 등 4개 핵심연구지원시설과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
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로열티 부담도 컸다. 김학성 교수는 “우리나라
의약
산업이 특허가 만료된 항체
의약
품을 복제하는 바이오 시밀러에 집중하고 있지만 단백질 신약 분야에선 한참 뒤처져 있다”며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인공항체는 기존 항체를 대체해 단백질 신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안전성평가연구소(안전성연)’ 기관장으로 부임한 이상준 소장(57·사진)은 원래
의약
품 분야 ‘사업화 전문가’다. 중앙대에서 약학대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종근당 기술본부장, 코오롱생명과학 사업총괄부장을 거쳤다. 이 소장은 17일 오후 연구소 내 원장실에서 동아사이언스와의 언론 인터뷰를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