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스페셜
"
육지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산불로 위협받는 자연의 '탄소 저장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시베리아와 스칸디나비아반도,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 등 아한대 지역에 속하며, 지구
육지
전체의 11% 정도 된다. 연평균온도가 5도 이하로 낮아 바늘처럼 뾰족한 침엽수가 우세하다. 숲이 워낙 방대한 덕분에 광합성을 통해 탄소 유기물을 저장하는 양이 지구 전체의 30~40%로 가장 많다. 이 지역을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비행기 있지만 ‘공항’은 없는 현실, 달 공항 건설해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20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로저스 설립자는 “지구는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있는데
육지
에는 대부분 대륙지각의 암석이 있다”며 “하지만 달과 화성은 지구와 같이 지각의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96%가 지구의 해양지각과 같고, 암석과 ‘표토’라는 가루 형태의 흙이 존재하는 독특한 환경이 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선박용 이어 항공용 위성 안테나 시장도 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선박용 위성 안테나를 장착한 선박은 먼 바다에 나가 있어도
육지
에서처럼 위성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는 최근에는 오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육상용 위성 안테나와 하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공용 위성 안테나를 개발했다. 현재 활용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그런데 한반도 면적의 90배에 이르는 땅을 숲으로 복원한다는 게 실현성이 있을까.
육지
의 숲 잠재력을 보여주는 지도다. 나무가 덮을 수 있는 비율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했다. 적도 주변 아열대, 열대 우림이 잠재력이 큼을 알 수 있다. 한반도도 잠재력이 꽤 된다. B: 숲 복원의 여력을 보여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초록 아놀리는 나무 위에 서식하며 나무 근처에서 먹이를 찾았으며 갈색 아놀리는
육지
쪽에서 서식하며 땅에 있는 먹이를 먹었다. 하지만 말린꼬리 도마뱀이 사는 섬 네 곳에서는 두 종의 아놀리 모두 천적의 위협을 피해 나무에 서식했다. 그로 인해 두 종의 아놀리 간 먹이 경쟁이 심화되어 녹색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해양생물이
육지
생물보다 2배 빨리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해양 생물종의 경우 생물이 살기 어려운 고온 환경 경계에서 사는 경우가 많았다.
육지
생물은 숲속이나 그늘 속에서 열을 피할 수 있으나 해양 생물은 이런 선택을 할 방법도 없다. 핀스키 교수는 “기후변화가 가속됨에 따라 어떤 종과 생태계가 온난화에 의해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을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난의 꽃을 외면하면서 수분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와 플랑크톤의
육지
버전도 있다. 네덜란드의 박새는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알을 낳는 시기에 변화가 없다. 그런데 먹이인 애벌레는 역시 그 먹이인 나뭇잎이 나는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23년 사이 성장 일정이 9일이나 ... ...
우리 앞바다 ‘미세플라스틱 역습’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양이 연간 53 t으로 개체수로는 약 1조2000억 개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한반도
육지
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제한적이지만 구체적으로 분석된 것은 처음이다. 국내에서는 인구가 많은 남동해안 주변이 인구가 적은 동해안이나 서해안 지역보다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2배 정도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양유입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전망이다. 심원준 소장은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다 보니 최근 들어
육지
에서의 플라스틱 배출 현황 연구도 활성화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을 밝혔다.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생명체와 환경에만 유해한 게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딸기인 F. viridis와 만나 6배체 자손인 사향딸기(F. moschata)가 나왔다. 6배체 딸기는 당시는
육지
로 연결된 베링해를 건너 북미에 자생하는 숲딸기를 만났고 여기서 8배체 딸기가 나왔다. 이게 100만 년도 더 된 시절의 일이다. 숲딸기는 유라시아와 북미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는데, 지역에 따라 특성이 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