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스페셜
"
원형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미토콘드리아에는 DNA이중나선 가닥이 잘리면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원형
인 게놈이 잘린 채 방치되면 결국 미토콘드리아가 죽는다. 게놈편집이 게놈에 치명적인 돌연변이가 있는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는 ‘삭제’ 용도로만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참고로 한 세포 안에 있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흐르는 도선이 자석 주위를 빙빙 맴도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는 현대적인 전기모터의
원형
이다. 당시에 패러데이보다 앞서 윌리엄 울러스턴과 험프리가 전기모터를 연구했었는데, 패러데이가 자신의 결과를 발표할 때 이들의 선행연구를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일기도 했었다. 그로부터 약 10년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초거성이었을 가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초신성 잔해에서
원형
이 그대로 보존된 별의 잔재를 발견한 것은 화마가 휩쓸고 간 숲에서 아직 불에 타지 않은 나무를 발견한 것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1854년 이미 육각형 구조를 제안했었고 오스트리아의 조지프 로슈미트도 1861년에 벤젠의
원형
구조를 제안했다. 모두 케쿨레 이전이다. 스코틀랜드의 아치볼드 쿠퍼는 1858년 탄소의 이중결합 구조를 제안하기도 했었다. 그렇다면 케쿨레는 꿈이 아니라 이들 논문에서 고리모양을 먼저 봤을지도 ... ...
1억원짜리 로봇 바텐더가 만든 칵테일 드셔보실래요?
연합뉴스
l
2020.06.09
딱 좋은 얼음을 조각해 줍니다. 카보라는 이름도 동료 바텐더들이 사각형의 얼음을
원형
으로 만드는 '아이스카빙'을 한다 해서 지어준 것인데요. 2017년 첫 출근을 한 카보는 위스키에 들어가는 얼음을 사람보다 예쁘고 빠르게 깎습니다. 그 실력을 인정받은 지 어느덧 4년 차. 일에 대한 ... ...
[의학게시판] 한양대병원, 2020년 제1회 발달세미나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9세 환자 22만8886명과 나이와 성별을 짝지은 대조군 457만772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다.
원형
탈모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4세, 남성이 55.7%였다. ■서울보라매병원은 소화기내과 공동 연구팀이 지난 8년간 5대 소화기암으로 내원한 의료취약계층 환자의 치료와 예후가 일반 환자와 동일했다는 ... ...
美 유인 우주선 9년만에 쏜다...민간 유인우주선 첫 시험무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컬럼비아호는 각각 1986년과 2003년 폭발 사고를 당해 사라졌다. 나머지는 2011년 퇴역해
원형
이 그대로 남아 있다. NASA 제공 전문가들은 처음 시도하는 만큼 비용 절감 효과는 아직 미미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NASA 감사실 분석에 따르면 우주인 1인을 보내는 데 드는 비용은 스페이스X는 5500만 달러(67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똑같이 힘든 상황에서도 잘 극복하는 사람의 공통점
2020.05.23
요인이 있지만, 이렇게 늘어졌다가도 다시 돌아오는 고무줄처럼 삶의 사건들에 의해
원형
이 크게 뒤틀리지 않는 힘을 회복탄력성이라고 한다. 흔히 회복탄력성이 좋으면 아예 나쁜 일을 겪지 않는다든가, 충격을 잘 받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는 않다. 회복탄력성이 좋은 사람들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현미경이 아니면 확인할 수 없는 크기였다. 모양도 제각각이어서 길쭉한 막대형,
원형
, 타
원형
등등이었고 움직이는 방식도 다양했다.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하나의 또 다른 거대한 세상이었다. 레이후엔훅은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영국의 왕립학회에 서신으로 보냈다. 처음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화학자 멜빈 캘빈 교수는 뜻밖의 제안을 받았다. 1934년
원형
입자가속장치인 사이클로트론을 처음 만들어 193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버클리방사선연구소(현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의 어니스트 로렌스 소장이 탄소14를 이용한 광합성 연구를 해보지 않겠느냐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