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문학
까닭
원인
영어
스페셜
"
영문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진에게 의료 장비 직접 만들어주자" 전세계 코로나19 극복 ‘DIY’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개발을 위한 콘테스트인 ‘코벤트(CoVent)-19 챌린지’를 열었다. 코벤트는 코로나19의
영문
표기인 Covid-19와 인공 호흡기(Ventilator)의 앞글자를 조합한 것이다. 코벤트-19 챌린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협업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이 프로토타입을 제출하면 FDA가 신속하게 승인하는 방식이다. 4월 ... ...
코로나19 논문 '800건 중국 vs 28건 한국'…왜?
연합뉴스
l
2020.03.31
달라는 요청이 있지만 이런 게 없어 미국에 간 후배 의사가 한국 지침을 보고 직접
영문
판으로 번역하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강대희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임상데이터의 신속한 확보와 공유는 전 세계적인 감염병 전쟁에서 인간이 쓸 수 있는 무기 중 무엇보다도 강력한 것"이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에볼라 치료제
2020.03.03
전 정식 이름이 없었고 GS-5734라는 일련번호로 불렸습니다. GS는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영문
머리글자입니다. 렘데시비르는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에볼라 동물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여 주목을 받았다. ‘네이처’ 2016년 3월 17일자는 논문을 실으며 표지에 에볼라가 정복됐음을 상징하는 사진을 ... ...
[팩트체크]신종 코로나 중간숙주 지목된 동물은 '아르마딜로' 아니고 '천산갑'
2020.02.07
지목했다. 해외 매체인 로이터와 뉴욕타임스는 영어로 아르마딜로를 쓰지 않고 천산갑의
영문
명이 판골린(pangolin)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아르마딜로와 천산갑은 별개 동물이라고 분류된다. 아르마딜로는 갑옷처럼 생긴 등껍질을 두르고 있는 동물로 유명하다. 이 모양새 때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책도 워낙 유명한 사람이 쓴 거라 작년 연말쯤이면 번역서가 나올 줄 알았는데 어찌 된
영문
인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책의 내용은 한마디로 ‘무시무시한 마약'으로만 알고 있는 LSD가 재평가되고 있어 머지않아 명예(LSD는 등장 당시 기적의 치료제로 칭송받았다)를 회복할 것이다’로 요약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시도를 해 성공했다고 2016년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그러나 어찌 된
영문
인지 유전자편집 돼지를 대상으로 ASFV 감염 실험을 진행했다는 얘기는 아직 없다. 백신, 아무리 빨라도 3~4년 걸려 설사 ASFV에 감염된 유전자편집 돼지가 혹멧돼지처럼 증상이 없거나 최소한 치명적인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알츠하이머의 유전변이에 관한 세계적 연구자로 꼽히고 있다. 미국 마노아 하와이대에서
영문
학과 생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부터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에서 신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천 교수는 한국뇌연구원이 개최한 뇌신경 분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와들 교수를 찾아가 시료를 요청했다. 밴타블랙에 한이 맺혔기 때문이다. 어찌 된
영문
인지 서리나노시스템스는 밴타블랙을 조각가 아니쉬 카푸어의 스튜디어에만 공급하기로 독점 계약을 맺어 다른 예술가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슈트레베는 와들 교수에게서 얻은 세계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한영외고 2학년에 재학 중이었던 2008년 12월, 단국대 의대 연구소에서 제1저자로 작성한
영문
논문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출산 전후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eNOS)의 다형성'이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대한병리학회지' 2009년 8월호에 실렸다. 허혈성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
2019.05.28
전혀 달랐다. 아이는 교재와는 전혀 다른 코드를 만들고 있었던 것이다. 어찌 된
영문
인지 아이에게 물었다. 아이는 “저번 시간에 아빠가 알려준 그거 있잖아.”라며 ‘작품 공유하기’ 메뉴를 가리켰다. 다른 사람이 만든 코드를 보고 따라 해봤다는 것이다. 메뉴를 눌러봤다. '아이스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