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인 외국인
미국인
잉글랜드사람
잉글랜드인
신참자
양키
잉글랜드 사람
스페셜
"
영국인
"(으)로 총 5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처해 있다. 원주민들끼리 평화롭게 살던 나우루는 1789년
영국인
이 발견했고, 1900년경
영국인
이 이 섬에서 양질의 인광석을 발견했다. 인광석은 비료의 원료인 인산염을 함유한 희귀한 광석으로 고가의 가치를 지녔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농업이 발전하면서 그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06년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MMR백신을 접종했냐는 질문에 ‘사생활’이라며 대답을 회피하면서 백신에 대한
영국인
들의 불안이 고조됐다. 영국의 홍역백신 접종률은 1996년 92%에서 2008년 73%까지 급감했다. 특히 학력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많이 사는 지역일수록 접종률이 더 낮아 60%까지 떨어졌다. 그 결과 홍역이 다시 돌아 200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원기왕성한 10대부터20대까지의 청년들이었다. 물론 이들의 죽음을 애도하기야 했겠지만,
영국인
들은 곧 청년들의 시신이 얼마나 유용한지 깨달았다. 전사자의 시체에는 아주 건강한 이가 많았던 것이다. 영국에서는 곧 전사자의 이를 뽑아 환자의 썩은 이를 대신하는 치료가 유행했다.전투 후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방법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1908년 독일 카스루에공대 물리화학 정교수가 된 하버는
영국인
조수 로버트 르 로시뇰과 함께 이 문제에 뛰어들었고, 이듬해 구조규명 125년 만에 마침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하버는 물리화학자의 직관으로 반응이 일어나려면 압력과 온도가 높아야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말이다. 생쥐가 실험동물로 쓰이기 시작한 건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국인
생리학자 윌리엄 하비가 혈액순환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쥐가 큰 역할을 했다. 그 뒤 20세기 들어 생쥐는 생명과학과 의학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럼에도 때로는 실험자의 부주의로, 때로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고생하다 죽음을 맞았다. 13. 데이비드 바커 (1938. 6.29 ~ 2013. 8.27) 태교의 중요성을 알았던
영국인
의사 데이비드 바커 - Barker family 제공 세상은 돌고 도는 것인가. 한국전쟁 때 미군들은 김치나 된장을 미개한 식품이라며 코를 막고 얼굴을 찡그렸는데 지금은 ‘세계 10대 건강식품’에 김치와 (청국장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1917년 런던 근교에서 태어난 크리스티앙 드 뒤브(Christian de Duve)는 이름에서 짐작하듯이
영국인
은 아니다. 그의 부모는 1차 세계대전을 피해 영국으로 건너온 벨기에사람으로 전쟁이 끝나자 다시 벨기에로 돌아갔다. 1934년 루뱅카톨릭대에서 의학공부를 시작한 드 뒤브는 인체가 연료인 포도당을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사례를 읽은 적은 있었지만 직접 본 건 처음이었다. 서번트 증후군을 처음 발표한 사람은
영국인
의사 랭던 다운 박사. 21번 염색체가 3개일 때 나타나는 다운 증후군의 발견자이기도 한 그는 1887년 런던의학회가 초청한 강연에서 30년 간 의사생활 동안 만난 특이한 환자 10명의 사례를 소개하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린 과학자 25명의 국적 분포가 이런 역사를 잘 설명한다. 무려 16명이 미국인이고 4명이
영국인
,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가 각각 1명이다. 한편 비서구권 과학자는 남아공의 필립 토비아스와 일본의 토노무라 아키라뿐이다. 개인의 삶은 역사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가 보다. 이탈리아의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