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시냅스 저하(long-term depression; LTD)를 매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다른 연구들에서도 AMPA
수용
체 세포내이입화 오류 및 기타 분자적 변화에 의해 문제가 생겨 장기 시냅스 저하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미 형성된 기억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억 형성에 문제가 생긴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PTS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
수용
체 구조
2023.03.22
구조 연구를 통해 냄새분자가 어떻게 특정 냄새
수용
체에서는 활성화를 촉진하고 다른
수용
체에서는 억제하는가를 알아내야 후각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것이다. 앞으로도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남성들도 여성들만큼 (금전 같은 보상을 걸면) 조망
수용
을 잘 해 내지만 사회적으로 돌봄이나 친절, 따스함 같은 미덕은 여성에게서 훨씬 크게 강조되기 때문에 굳이 “그럴 필요가 없어서”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훈련을 덜 하는 편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대응하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생명공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
하고 산림에 적용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 수단으로 삼고 있는 반면, 국내의 상황은 녹록치 않다. 유전자변형 식물에 대한 규제가 강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유전자변형 식물 상용화 승인이 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그 결과 나트륨 이온의 정보인 짠맛을 느끼는 능력이 진화한 게 아닐까. 실제 짠맛
수용
체는 혀 미뢰의 세포에 분포하는 나트륨 통로인 ENaC로 밝혀졌다. 야생동물이 짠맛이 나는 광물을 핥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인류 역시 마찬가지였겠지만 약 1만 년 전 농업을 발명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않는다. 영하 10도 밑으로 떨어지는 날에도 이온의 농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면 여전히
수용
액 상태이고 결국 시간이 흘러 물이 증발한다. 어는점 내림 현상은 용액이 얼 때 엔트로피(무질서도) 감소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순수한 용매(그림에서는 물)가 얼어 결정(얼음)으로 바뀌는 과정(위)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당위다. 특히 현대 과학기술의 가치와 성과를 분명하게 평가해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수용
하는 친(親)탄소적이고, 친(親)과학적인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탄소가 인간의 존재와 인류 문명을 가능하게 만들어준 가장 현실적인 수단이었다는 사실은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과학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무한한 잠재력 지닌 세포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골라 없애는 방식의 치료제를 만들었다.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에만 붙도록 만든 특수
수용
체(CAR)를 T세포에 발현시켜 T세포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골라 공격하게 만든 것이다. 주로 백혈병이나 B세포림프종 같은 암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사이언스는 “CAR-T 치료제는 가히 혁명적이었다”며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
2022.11.05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르에피네프린의 체내 농도가 증가하는 한편 노르에피네프린
수용
체의 민감도가 떨어진다고 하므로, 어쩌면 나이가 들수록 수면주기가 무너지고 깊은 잠 대신 얕은 잠이 늘거나 자주 깨어나는 것이 노화에 따른 뇌 속 노르에피네프린 농도 진폭 변화 감소에 의한 것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주류 학계가 무시했지만, 그 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제3의 광
수용
체세포 찾기 경쟁이 붙었고 2002년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데이비드 베르슨 교수팀이 영광을 차지했다. 생체시계 전문가인 영국 옥스퍼드대 일주 신경과학 교수 러셀 포스트는 최근 ‘Life Time’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