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스페셜
"
수상
"(으)로 총 9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이남훈 포스텍 교수, 한국인공지능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13
023 인공지능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
한 포스텍 연구진. 왼쪽부터 신성빈 컴퓨터공학과 통합과정생, 이동엽 인공지능대학원 석사과정생. 이남훈 인공지능대학·컴퓨터공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이남훈 인공지능대학원·컴퓨터공학과 교수, 신성빈 컴퓨터공학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1970년대 이후에는 이 수술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하는 모니즈. 위키미디어 제공 ● 뇌의 기능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하는 정위기능신경외과학의 등장 기능신경외과학은 각종 기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조직을 파괴하거나 약물 주입, 물리적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정책도 있었다. 물론 아무 성과도 내지 못한 엉터리 정책이었다. 심지어 노밸상
수상
을 목표로 하는 ‘연구원’도 만들었고 이제는 정체도 불확실한 ‘글로컬’(Glocal) 대학이다. 유전자 가위 분야에서 세계 선두를 달리던 과학자를 어설픈 기술 가치 평가에 대한 혼란을 핑계로 퇴출시켜버린 일도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개최된 기술경영경제학회 창립 31주년 기념포럼에서 제2회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대상을
수상
했다고 7일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대상은 기술경영경제학회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다. 한 해 동안 국내 기술혁신을 선도한 대표적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에서 식물들이 파괴되고 복원되는 양상을 살폈다. 육상과
수상
지대를 나눠 이 지역에 서식하는 초식동물의 규모가 식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각각 분석했다. 분석을 마친 연구팀은 초식동물이 식물 생태계 파괴와 복원에 미치는 영향이 그간 과소평가됐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벼룩의 퇴치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했다. 뮐러는 그런 공로로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다. DDT는 1945년부터 농약으로 공급되었고 1955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전 세계에 DDT를 대량 살포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보건의료 체계가 정비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발견함으로써 이를 증명했고 1975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다. RNA 바이러스가 증식하려면 숙주세포내에서 숙주세포의 능력을 이용하여 DNA를 합성해야 한다. DNA를 합성하려면 재료가 있어야 하며 이 때 정상적인 재료가 사용될 부위에 더 이상 합성을 못하게 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노벨상이 계절이 돌아온 사실조차 잊고 있을 정도였다. 해마다
수상
자를 족집게처럼 예측해준다는 클라리베이트(Clarivate)의 소위 ‘후보’ 명단에 우리 과학자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노벨상에 대한 무관심이 어쩌면 ‘약탈적 이권 카르텔’로 지목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입어 X선이 인체로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X선 연구에 큰 역할을 하여 각각 노벨상을
수상
한 퀴리 부인(Marie Curie, Maria Salomea Sklodowska)과 그 딸(Irene Joliot Curie)은 X선에서 나오는 방사능 연구에 한평생을 바치며 학문 발전에 큰 공헌을 했지만 부작용이 덜 알려져 있던 시기에 방사선 과다노출에 의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분야의 고도 영재에 대한 과기정통부의 지나친 관심도 바로잡아야 한다. 필즈 메달을
수상
한 허준이 교수는 과기정통부의 영재 교육을 받지 않았다. 21세기가 요구하는 과학기술은 과학자의 전유물이 아니다. 과학자의 양성 과정에도 인문학‧사회과학‧문화예술의 충분한 교육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